메인화면으로
페이스북과 위키피디아의 공통점과 차이점?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페이스북과 위키피디아의 공통점과 차이점? ['커먼스' 시대가 온다] 커먼스 전환과 P2P <2>

신자유주의를 무작정 옹호하는 목소리는 이제 잦아들었다. 이른바 '줄푸세'(세금은 줄이고, 규제는 풀고, 법질서는 세운다) 구호는 확실히 한물 갔다. 신자유주의, 무분별한 사유화가 나쁘다는 건 다들 안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시장 만능주의가 나쁘니, 다시 국가주의인가?

국가 소유를 개인 소유로 돌리는 것, 혹은 그 반대.

지난 세기 역사는 이 두 가지가 모두 위험하다고 가르친다.

대안은 종종 주어진 선택지를 벗어난 자리에 있다. 무엇인가를 소유한다는 건, 아주 복잡한 개념이다. 국가가 소유하거나 특정 개인이 소유하는 것 말고도 다양한 선택지가 있다. 대상과 소유자가 꼭 일대일로 연결돼야 하는 것도 아니다. 온라인 공간에서 떠도는 숱한 정보와 지식에게 일대일 관계로 주인을 맺어주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인터넷 이용자라면, 누구나 공감할 게다.

'커먼스'(The Commons, 공유) 운동을 소개하는 건 그래서다. 우리에게 익숙한 일대일 대응 소유 개념은, 인류의 역사에 비춰보면 오히려 낯설다. 15세기 말, 영국 영주들이 땅에 울타리를 치고 농민을 몰아내면서 자리 잡은 개념일 뿐이다. 이 같은 '울타리 치기' 운동은 지금껏 이어졌지만, 여전히 미완이다.

울타리를 칠 수 없는 영역이 아직 많다. 앞서 거론한 온라인 정보만이 아니다. 평판, 명성, 친분처럼 손으로 만지기도, 숫자로 세기도 애매한 것들이 많다. 누구나 아주 소중하게 여기는 것들이지만, 익숙한 소유 개념으로 접근할 수는 없다. 예컨대 평판을 주식처럼 쪼개서 사고파는 건 불가능하다.

요컨대 국가와 시장에서 벗어난 '커먼스' 영역이 분명히 있다. 그리고 국가 소유와 개인 소유가 모두 온전한 대안이 아니라면, '커먼스' 영역을 확대하자는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일 가치가 있다.

미셸 바우엔스(Michel Bauwens), 데이비드 볼리에(David Bollier) 등이 주도한 'P2P 커먼스 재단'(P2P Commons Foundation)이 이미 활동 중이다. 말 그대로 '커먼스'에 대한 연구와 실천을 하는 재단이다. 한국에서도 이들과 연계한 활동이 시작됐다. "e-commerce(이커머스)의 시대에서 e-commons(이커먼스)의 시대로"라는 구호를 내걸고, '지식공유지대 e-Commons(이커먼스)'가 창립했다.

<프레시안>은 최근 홍기빈, 박형준 '지식공유지대 이커먼스' 준비위원과 대담을 진행했다. 홍기빈, 박형준 준비위원은 '지식공유지대 이커먼스'를 통해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그들이 그간 낸 책을 무료 전자책으로 공개하는 것부터 시작했다. '지식공유지대 이커먼스'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누구나 pdf 파일을 내려 받아서 전자책 리더로 읽을 수 있다.

아울러 이들은 '커먼스' 운동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소개할 예정이다. 우선 'P2P 커먼스 재단'이 배포한 <커먼스 전환과 P2P : 입문서(Commons Transition and P2P : a primer)>를 번역했다. <프레시안>은 박형준 준비위원이 번역한 내용을 연재할 예정이다.

☞홍기빈, 박형준 '지식공유지대 이커먼스' 준비위원 대담 : "'망리단길' 부동산 가치는 원래 누구 몫일까?"


[커먼스 전환과 P2P·<1>] 위키피디아와 국유림의 공통점?


P2P란 무엇인가?

"커먼스"가 "무엇"이라면, "P2P"는 "어떻게"로 간주될 수 있다.


P2P는 - 즉, "동료 간(peer to peer)", "사람 간(people to people)", 또는 "개인 간(person to person)" - 관계적인 동학을 지칭하는데, 이를 통해 동료들이 자유롭게 서로서로 협동하면서 공유 자원의 형태로 가치를 창출하고, 커먼스의 형태로 그것을 순환시킨다.

우선, P2P는 "동료들" 간 합의된 연계로 특징짓는 컴퓨터 시스템을 가리킨다. 이는 연계망에 속한 컴퓨터들이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디오와 비디오 파일 공유가 P2P 파일 공유로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인터넷의 데이터 전송 인프라 같은 인터넷의 기초 인프라의 일부도 P2P라고 불린다.

이러한 컴퓨터들 뒤에 인간 사용자들이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자. 이 사용자들은 지구적 차원에서 개인 간에 서로 쉽게 상호작용하고 관계를 맺게 해주는 기술 도구를 가지고 있다.

P2P 용어 및 정의에 대한 언어적인 혼란은 때로 기술 인프라(컴퓨터 통신)와 관계적 동학(사람들 간 의사소통)의 상호 의존성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P2P 인간관계를 촉진하기 위한 기술 인프라가 오로지 P2P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이나 비트코인을 위키피디아나 여타 무료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와 비교해 보자. 이들 모두가 P2P 동학을 활용하지만 다른 정치적 지향을 가지고 다른 방식을 통해 그렇게 한다.

P2P 협업은 대체로 허락이 필요 없는데, 이는 보통 기여할 때 다른 사람의 허락이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P2P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모든 기여와 그 기여자들에게 개방되지만, 작업의 질과 수용여부는 대개 위키피디아의 경우처럼 관리자와 편집자 층에서 "사후 점검"으로 결정된다.

P2P는 또한 개인 간의 특정한 호혜를 수반하지 않고, 단지 개인들과 공동의 자원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성을 수반하는 자원 할당 방식일 수도 있음을 기억하자. 예를 들어, 널리 사용되는 GNU General Public License(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에 따라 배포된 기존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당신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지만, 당신의 최종 제품도 동일한 종류의 라이선스로 제공되어야만 한다.

협력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상호 연결된 컴퓨터의 P2P 네트워크는 커먼스를 위해 중요한 공유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지만, P2P가 디지털 영역과 첨단 기술에만 관련된 것은 아니다. 커먼스는 비강제적이고 비계급적인 관계에 관한 것이며, 그것이 지닌 특성에는 인간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잠재력이 들어 있다.

P2P와 커먼스, 그 둘은 어떻게 상호연관을 맺는가?

P2P와 커먼스의 관계가 바로 기여적인 활동을 가능케 하는 역량의 하나이다. P2P는 공유되고 공동으로 관리되는 자원(커먼스)의 창출과 유지에 기여하는 역량을 쌓이게 함으로써 "공유(commoning)"라는 활동을 촉진한다.

짧게 말해, P2P는 인간들 사이에 가시적인 관계의 양상을 표현한다면, 커먼스는 이러한 관계의 동학이 가진 특정한 무엇(가령 자원 가운데), 누구(그 자원을 중심으로 모인 공동체) 그리고 어떻게(그 자원을 윤리적으로, 그리고 미래 세대를 위해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규약)를 우리에게 보여 준다.

시민사회를 P2P 동학과 커먼스 관례에 기초한다면 보다 평등주의적이고, 공정하며, 환경적으로 안정된 사회를 실현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커먼스 전환의 목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원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