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이미 연재 중인 '문화, 우주를 만나다'에 이어 '별, 시를 만나다'를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가 운영하는 웹진 과 공동으로 연재한다. 한국 시단을 대표하는 시인 50인이 별, 우주를 소재로 한 신작시 50편을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매일 한 편씩 선보인다. 매번 첨부될 시인의 '시작 노트'와 천문학자 이명현 교수(IYA2009 한국조직위원회 문화분과 위원장·연세대 천문대)의 감상은 시 읽는 즐거움을 더해 줄 것이다. |
별 볼일 있는 별 볼 일
별달리 할 일이 없으니 이별에 대해 말하려 해. 이 별에서 벌어졌던 이별에 대해. 별것 아닌 일일지도 모르지. 이 별에선 천차만별의 사람들이 천만차별을 받으니 말이야. 천만 명의 인구 중 과연 몇 명이나 별이 될 수 있었을까?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 가는 것을 사랑해*도 말이야. 그러다 별이나 달지 않으면 다행이지. 알다시피 별일이 다 터지는 별이잖아.
저길 봐, 별을 따려고 눈이 빤짝빤짝 빛나는 사람들을. 별 볼일 없으면 별이라도 함께 보자고 추파 던지는 치들도 있지. 별이 있다면 말 그대로 유별난 소리. 그런데 과연 하늘을 봐도 별을 딸 수 있을까. 이따금 똥 흘리며 떨어지는 별들이 있긴 하지만. 바라보고 있자면 별스럽게도 눈물이 핑 돌아. 그렇게 넋을 놓다가 불현듯 큰 별이 지면 고개 숙여 다 같이 묵념을 해.
그새 별난 사람이 또 샛별을 낳았대. 난 그 별로 날아갈 테야. 밝기별로 늘어서서 광나는 피부를 뽐내야 하는 것은 영 별로지만. 거기서 별 중의 별, 그러니까 별의별처럼 빛날 테야. 별미처럼 블랙홀 속으로 스르르 미끄러질 테야. 은하계의 마지막 별종처럼 사라지며, 각별한 마음을 담아, 작별.
* 윤동주의 '서시'에서.
세상에는 별의 별 일들이 많다. 밤하늘에도 별의 별들이 다 많다. 보통 그냥 별이라고 부르지만, 별 중에는 스스로 빛을 내는 별들이 있는데 항성이라고 한다. 우리가 밤하늘에서 보는 대부분의 천체가 항성이다. 태양도 물론 항성이다.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들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태양빛을 반사해서 모습을 드러낸다. 왜소행성, 소행성, 위성 또한 마찬가지다. 이런 별들은 사실 (항성만을 별이라고 한다면) 별이 아닌 별인 것이다.
미처 온전한 별이 되지 못한 채 식어가고 있는 별이 있는데, 갈색왜성이라고 부른다. 스스로 빛을 내려면 별 내부에서 핵융합 작용이 충분해야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 갈색왜성이 되고 만다. 태양 같은 별들은 주계열성이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보통별이다. 이런 별들이 죽으면 백색왜성이 되는데 작고 뜨거운 흰색 별이다.
태어날 때부터 푸른색을 띄는 큰 별들이 있는데, 청색거성이라고 한다. 짧은 일생을 마치고 초신성이 되어 폭발한다. 그리고는 중성자별이 되거나 블랙홀이 된다. 별들이 죽기 직전에는 보통 적색거성이 되어 맥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렇게 별의 별들이 다 있다. 빛이 변하는 변광성 등등 또 다른 별의 별 이야기도 기대하시라.
별이란 말을 입속에서 굴리다 보면 나도 모르게 조금 특별해진다. 브라운관 속의 스타가 불똥을 튀기며 환하게 빛나는 것처럼. 사람들이 별별 노력을 다 들여 별이 되고 싶어 하는 이유를 알 듯도 하다. 한 가지 다행인 사실은 밤하늘엔 무수히 많은 별들이 있다는 점이다. 나도 우주에 거주하는 주민으로서 책임감을 갖고 조금 더 밝아져야겠다. 한밤중에 귀뚜라미 울음소리를 들으며 별을 노래하는 마음에 별별 리듬을 다 입히면서.
오은은… 1982년생. 2002년 <현대시>로 등단. 시집 <호텔 타셀의 돼지들>.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