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강남역 살인, '화장실법' 아니라 차별금지법 필요"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강남역 살인, '화장실법' 아니라 차별금지법 필요" [토론회] "우리 안의 여성 혐오, '강남역 살인 사건'으로 이어졌다"

그 여성은 왜 살해당했나. 피할 수 없는 일이었을까. '그 여성의 일'에 대해 왜 여성들은 자신의 문제로 깊숙이 받아들이는 것일까.

'강남 여성 살해 사건'. 그리고 추모의 글로 도배됐던 강남역 10번 출구의 풍경은 많은 질문을 낳는다. 그 수많은 질문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여성'이다.

이 사건의 성격을 규정하는 방식에 대한 의견은 여전히 분분하지만, 피의자의 진술에서 나온 '여성'이라는 단어를 쏙 빼놓은 채 이 사건을 설명하기란 어려워 보인다. 그런 점에서, 이 사건을 우리 사회 내 여성 차별, 여성 혐오 문제를 돌아보게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6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강남 여성 살해 사건에 대한 긴급 집담회'가 열렸다.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성폭력상담소 등 여성단체가 주최한 이번 집담회에서는 우리 사회 내 여성 혐오의 보편성과 특수성, 혐오 표현 법 규제와 사회적 대응 방안, 여성 운동 현장에서 본 여성 폭력 및 살해 실태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프레시안(서어리)

김수아 서울대 기초교육원 교수는 우리 사회에서 여성 혐오가 문화적으로 유통되는 양상을 짚었다.

김 교수는 우선 이번 사건에 대한 남초 커뮤니티의 게시글을 소개하는 것으로 운을 뗐다. "여성을 혐오하는 남자가 어딨냐. 오히려 환장하는데 혐오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는 내용이다.

김 교수는 "여성을 대상화하는 것이 바로 여성 혐오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남성 중심 사회에서 남성은 남성성을 증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성을 '차지'하고, 만일 그렇지 못하면 남성성을 수행하지 못한 이등 존재 취급을 받는다"며 "여성을 만나지 못한 책임을 경쟁 시스템 등 다른 요인에 두지 않고, 자신을 부인한 여성에게 귀인시킴으로써 남성 자신을 피해자로 둔갑하며 역차별을 주장한다"고 했다.

여성 혐오 문제가 격화되는 원인으로는 그릇된 인터넷 문화와 언론 보도를 꼽았다.

김 교수는 대중가요 가사를 패러디 한 "오! 빠따 뽑았다, 널 때리러 가"라는 '짤방'을 예로 들었다. 그는 "여성 혐오 맥락이 포함된 유머가 온라인을 통해 표현의 자유 혹은 패러디를 경유하는 예술의 자유로 포장되고 있다"며 "여성에 대한 공격과 폭력이 유머의 소재가 되면, 여성에 대한 폭력이 정당화되고 사소하고 당연하게 되고, 실제적 폭력으로 가시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언론 보도를 보면, 여성 혐오에 관한 책임 있고 당연한 주장과 혐오성 의견이 둘 다 동등하게 다뤄지면서 '김치녀 서사'는 사실이 되어버리고 있다"며 "객관주의를 표방하는 언론이 결국은 여성 혐오 세력을 키운 것과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강남역 인근 주점 화장실 살인사건 피해자 추모공간이 옮겨진 서울시청 시민청에서 24일 시민들이 추모글귀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홍성수 숙명여자대학교 법학과 교수는 "이번 사건의 징후가 다른 증오 범죄 징후와 다르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번 사건을 증오 범죄 혹은 혐오 범죄로 볼 수 있다"고 했다. 홍 교수에 따르면, 증오 범죄 판단 판단 기준이 되는 중요한 지표는 소속 구성원이 모두 해당 사건을 자신의 일로 느끼는지 여부다. 홍 교수는 강남역 10번 출구 추모 공간에 시민들이 남겨놓은 '나는 우연히 살아남았다'는 등 문구가 이 사건이 증오 범죄임을 알려주는 증거라고 했다.

홍 교수는 "경찰적 관점, 형사법적 관점을 떠나 이 사건은 여성 혐오의 맥락과 떼어놓고 보기 어렵다"며 "사회적으로 담론화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그런 점에서 굳이 법적인 차원을 살펴보자면, 차별금지법이 훨씬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홍 교수는 "차별금지법은 인권과 민주주의 말하는 나라에서 당연한 것이며, 폭력이나 범죄들의 근간에 이루는 것들을 규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필요하고 우선적으로 돼야 한다"며 "이런 법 제정은 실제적인 범죄 예방 효과보다는 국가·공동체의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나영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이 사건에 대한 여성들의 '추모 릴레이'와 '여성 혐오 피해 필리버스터' 현상에 주목했다. '페미니즘 역사 속에서 오래 전부터 중요 의제였던 여성 폭력과 여성 살해 이야기가 왜 이제야 새삼스레 이슈화되고 있는가'가 언론의, 그리고 그의 문제 의식이다.

이 교수는 "지금까지 '순결한 여성'과 '창녀'라는 이분법으로 인해 여성들 간에 동일시 과정이 이뤄지지 않았는데, 대중적 공간에서 '일반' 여성에 대한 일어난 살해 사건은 모든 여성들에게 '나도 당할 수 있다'는 불안과 공포를 일깨운 것"이라고 했다.

이어 '공감하는 청중의 탄생' 또한 중요한 지점이라고 했다. 온라인 상에서 '메갈리아'와 같은 커뮤니티 공간이 생기면서, 여성이 자신의 이야기를 가감 없이 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 그는 "메갈리아 유저에 대해 '이들은 페미니스트가 아니'라고 말한다면, 그들은 페미니스트가 되어간다고 대답하고 싶다"고 말했다.

여성 살인, 여성 폭력 문제를 가까이에서 지켜봐 온 이미경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은 "여성 살인 문제가 여성 폭력의 문제로 확대되어가면서 본인의 경험을 자각하고 분노를 표출하는 계기가 되는 것은 무척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평가하며, "여성 혐오에 대한 더욱 다양한 목소리가 표출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원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서어리
매일 어리버리, 좌충우돌 성장기를 쓰는 씩씩한 기자입니다. 간첩 조작 사건의 유우성, 일본군 ‘위안부’ 여성, 외주 업체 PD, 소방 공무원, 세월호 유가족 등 다양한 취재원들과의 만남 속에서 저는 오늘도 좋은 기자, 좋은 어른이 되는 법을 배웁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