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안전사각지대 ‘배전반’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안전사각지대 ‘배전반’ 구체적인 규정 없어 화재주의보

건물 내에 전기 공급을 위해서 연결된 전선을 모아둔 곳이 배전반이다.

전기장치가 많아 단락과 합선 등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만일 전기 합선으로 이 곳에서 불이 나면 감전 위험은 물론, 자칫 건물 전체로 번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장치다.

▲ 불이 난 배·분전반 모습. ⓒKNN

하지만 전국적으로 배․분전반 유형 화재가 연이어 발생하는데도 아직 마땅한 안전기준이 없다.

이유는 일반 건축물이나 민간시설에선 대부분 고장이 나서 철거할 때까지 (배전반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가 화재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배전반에 자동소화기구 등을 설치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설명이다.


▲ 지난 20일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에서 배전반 모형에 자동소화기구 등을 설치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인화물질에 불을 붙이자 배전반 모형이 불길에 휩싸였지만 온도가 120도를 넘어서자 자동소화기구에서 나노분자가 터지며 곧바로 불길을 잡았다. ⓒKNN

이에 대한 실험이 지난 20일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에서 실시됐다. 배전반 모형을 설치해 놓고 인화물질에 불을 붙이자 배전반 모형이 불길에 휩싸였다.

그러나 온도가 120도를 넘어서자 자동소화기구에서 나노분자가 터지며 곧바로 불길을 잡았다.

최근 전기 사용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건물이 고층화 대형화됨에 따라 대기업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이러한 자동소화 기구를 도입하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문명훈 도로팀장은 "터널 등의 구조물에는 취약한 전기시설물들이 많이 있다“면서 ”이번에 나노기술을 응용한 첨단기술 소화설비를 시범사업으로 도입해 안전사각지대를 줄여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연이어 발생하는 배·분전반 유형 화재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KNN

하지만 정작 필요한 초고층 아파트 및 다중이용시설에는 구체적인 기준이 없어 큰 문제다. 작은 소화기구로도 배전반 화재를 잡을 수 있지만 이를 모르거나 비용을 아끼려고 설치를 피하는 건물주가 많다.

얼마 전 발생한 서울 S백화점 화재를 비롯해 부산 해운대 G아파트 화재. 포항 D아파트 화재 등 고층아파트 화재가 야간에 일어난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이다.

고층아파트 화재는 고층사다리가 15층 밖에 올라가지 않아 무엇보다 1차 화재진압이 중요하다.

해마다 배․분전반 유형 화재로 그 피해가 반복되고 있지만 지하에 설치된 배전반이 아니면 의무적으로 소화기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돼 이에 대한 제도 보완이 시급해 보인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원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2-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