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자신이 검찰총장이던 시절의 이른바 '고발 사주' 의혹에 대해 강하게 부인했다. 윤 전 총장은 의혹의 핵심인 '손준성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이 김웅 의원에게 고발장 파일을 건넸다'는 부분에 대해 자신은 전혀 모른다고 했다. 윤 전 총장은 10일 당 선관위가 1차 경선 토론회 대체 행사로 준비한 '국민면접'에서 면접관 역할을 한 진중권 전 교수로부터 관련 질문을 받고 "사주라는 게 높은 사람이 아랫사람한테, 센 사람이 약한 사람한테 하는 것인데, 검찰총장이 국회의원 백 수십 명 정당을 '사주'했다는 것 자체가 공작 프레임"이라고 주장했다. 윤 전 총장은 당시 상황에 대해 "(2020년) 1월에, 제가 6개월 전 대검에 배치했던 사람들을 다 쫓아냈다. 중앙지검 등 주요 포스트에 있는 주요 수사·공판 관련 배치된 사람을 다 지방으로 보낸 상태"였다고 언급했다. 진 전 교수 등 토론회 패널들로부터 그러나 '손 검사와 김 의원 간에 파일이 오간 것은 언론 보도를 볼 때 사실로 보인다'는 지적이 나오자 윤 전 총장은 "글쎄, 자기들끼리 동기니까 통화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언론에서 본 고발장 내용을 보면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 간다"면서 "저 자신이 이런 것을 전혀 보고받거나 알지 못한다"고 했다. '파일을 주고받았을 수 있다는 말이냐'는 취지의 재질문에 그는 "아니다. 그건 손 검사도 보낸 사실이 없다고 하고, '손준성 보냄'이라는 것도 어떤 분은 '글꼴도 이상하다', '그 자체도 변형이 가능하다'고 하고 있다"고 부인했다. '수사 전문가인데, 입장을 바꿔 이 사건을 수사하는 입장이라면 어떻겠느냐'는 질문을 받자 그는 "수사도 증거를 갖고 판단하는 거지 감을 가지고 밀어붙이는 건 아니다"라며 "당사자가 명백히 얘기를 안 하고, 준 쪽은 주지 않았다고 하고, 내용을 봤을때 4월 3일에 벌어진 일이 '4월 3일(작성) 고발장'에 막 들어가 있다는 것도 (이상하다), 또 판결문에 대해서도 의혹이 많다"고 했다. 그는 다만 '손 검사가 김 의원에게 판결문을 준 것이 확인된다면 최소한 총장으로서 관리 책임이 있지 않느냐'는 지적에는 "예를 들어 그것(의혹)이 명확하게 확인된다고 하면 제가 당시 총장으로서, 손준성이 아니라 대검의 어느 직원이나 검사라도 제대로 살피지 못한 부분을 국민들에게 사과할 수 있겠지만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니까 빠른 시간 내에 조사를 하라는 입장이다"라고 답변했다. 전날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이 윤 전 총장 부인 김건희 씨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과 관련해 한 회사를 압수수색한 일에 대해서는 "어떻게든 뭘 연결시켜 보려고 1년 6개월째 하고 있다"며 "어떻게든 여러 사람의 개인적 문제를 확인하러 들어간 게 아닌가 추측되고, 집사람 회사에서 뭐가 나온 게 없다"고 주장했다. 윤 전 총장은 "수사를 수십 년 했지만 이런 정도 사안에 1년 6개월씩 특수부를 동원해서 하는 적은 없었다"며 "이례적이다", "정상적이지 않다"고 검찰 조처에 불편함을 표시했다.
'메이저 언론', '120시간 노동', '부정식품'…연이은 설화 해명에 진땀
윤 전 총장은 자신이 '고발 사주' 의혹에 대해 기자회견을 하면서 '왜 그런 의혹이 메이저 언론이 아니고 인터넷신문에 보도되나'라고 말해 논란이 인 데 대해서도 해명했다. 윤 전 총장은 토론회 패널로 참여한 김준일 <뉴스톱> 기자가 '메이저 언론이 아닌 인터넷신문 기자가 질문하게 됐는데 불편한가'라고 꼬집자 "그런 것 없다. 기관장일 때 메이저나 인터넷매체다 다 공평하게 다뤘다"고 해명했다. 그는 "제가 말씀드린 것은, 며칠 전에 '정치공작을 이런 식으로 하지 말라'고 하면서 '1단계 인터넷, 2단계 메이저, 3단계 정치인 출현' 이런 식으로 (공작을) 하는데, 제발 그런 규모 작은 매체를 공작에 동원하지 말라는 뜻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의혹을 최초 보도한 <뉴스버스>의) 보도를 보면 김웅 의원을 취재했던데, 거기서 김 의원이 '윤 총장은 관여 안 했다', '내가 썼다' 이런 첫 번째 것(통화 내용)은 다 은폐했다. 김 의원은 '술 먹고 올라가다가 유도심문을 당했다'고 하지 않느냐. 왜 그렇게 보도하냐는 것이다"라며 "그러니 저희가 문제 제기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른바 '120시간 노동' 발언 논란에 대해서는 "인터뷰가 녹화되는줄 모르고 안 해도 될 얘기까지 많이 하긴 했다"며 "주 52시간제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바로 며칠 전 기업인 모임에서 들은 이야기를 '이런 이야기도 있다'(고 한 것)"라고 해명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120시간은 기본적으로 스타트업·전문직 등 최저임금과는 관련 없는 고소득, 주로 대기업에 납품하는 그런 회사를 하는 분들(이야기)"이라며 "화이트칼라 전문직에 대한 이야기인데, 언론에 나온 것을 보니 아우슈비츠를 얘기하고 육체노동자 등 근로자 전반에 대해 120시간 하라고 한 것으로 나왔더라", "일반화시켜서 한 게 아니다"라고 말해 추가 논란의 불씨를 남겼다. 당장 현장 패널로부터도 "안그래도 IT 업계 노동자들 과로사가 많다. IT기업 창업주들 얘기만 들을 게 아니라 거기서 일하는 사람들 말은 들어봤느냐(진 전 교수)"라는 지적이 나왔다. '부정식품' 발언 논란에 대해서는 "그건 오해"라며 "불량식품은 유해식품이고, 부정식품은 정부가 규제기준으로 정한 그 아래 것을 부정식품이라고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FDA의 (식품) 규제 기준이 너무 과도하면 중소기업은 없어지고 독과점이 생기고 가격이 상승한다"는 밀튼 프리드먼의 주장을 인용해 발언한 것이었다고 부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