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를 두고 정부가 이태원 '사고'로 용어를 통일해 사용하는 새로운 이유를 제시했다. '이태원 상권 보호'가 새 명목으로 나왔다. 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박종현 중대본 사회재난대응정책관은 "이태원은 굉장히 유명한 관광지다. 우리 내국인도 많이 가지만 외국에서도 많이 찾아오는 관광지"라며 "그런 지명 뒤에 '참사', '압사'라는 용어를 쓰면 그 지역 이미지에 굉장히 부정적인 이미지를 각인시켜 그 피해는 거기서 생계를 유지하는 자영업자한테 간다"는 점을 고려했다고 말했다. 박 정책관은 이어 "'압사', '참사'라고 이렇게 (표현)하면 (외국인 관광객들이) '그곳은 굉장히 위험한 곳인가 보다' 해서 가기 꺼려하는 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저희가 가능하면 '이태원 사고로 하자'고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전날 중대본이 밝힌 이유와 다르다. 전날 중대본은 이번 참사를 '사고'로 표기하는 이유로 "가해자나 책임 부분이 분명한 경우에는 '희생자', '피해자'라는 용어를 쓰지만 상황이 객관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중립적인 용어가 필요하다"며 '사망자' '사상자' 등의 표현을 쓴다고 밝힌 동시에 이번 참사는 '사고'로 표기한다고 밝혔다. 이에 관련 논란이 크게 일어났다. 외신은 전부 이번 사태를 '참사(disaster)'라고 표기하고 국내 언론도 일제히 '참사'라고 표기하는데 정부만 '사고(accident)'로 공식 표기하기 때문이다. 당장 서울시내에 설치된 합동 분향소에도 '참사' 대신 '사고'가 표기됐다.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해당 명칭 논란이 일어났다. 이동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외신은 전부 '디재스터(참사)'라고 표현하는데 우리 정부만 액시던트(사고)라고 표현한다"며 "인권위원회가 정부에 제동을 걸어야 하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같은 당 이수진 의원은 "참사 희생자를 굳이 '사고 사망자'라고 표현하는 것은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을 묻는 것을 최소화하려는 의도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처럼 관련 용어 표기를 두고 논란이 나오자, 이날 브리핑에서 중대본이 재차 새로운 이유를 제시한 것이다. 박 정책관은 "세월호 (참사) 같은 것은 사실 (주요 표기 명칭에) 지명이 없지 않습니까? 그래서 (이태원이라는) 지명을 빼자는 의견을 제시한 분도 있었다"며 "그런데 지명을 빼면 '핼러윈 압사', '핼러윈 사고' 이렇게 하면 또 너무 안 맞는 것 같아서 '이태원 사고'라고 합의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합의에 걸리는 시간은 길지 않았다고도 설명했다. 박 정책관은 또 "'희생자' '피해자'라는 표현을 안 쓰는 게 정부가 책임을 회피하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는데 전혀 아니"라며 "어쨌든 저희는 재난과 관련한 용어는 최대한 중립적으로 쓰자는 일종의 내규가 있어서 그런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박 정책관은 "그러면 다른 (표현), '희생자' 같은 표현을 써도 되느냐? 물론 됩니다"라며 "저희는 이것을(사고, 사상자) 권고한 것이고, 일반 국민이나 언론은 '참사', '압사' 이런 표현을 쓰고 계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이날부터 광주광역시는 합동분향소에 사용하는 명칭을 '사고'에서 '참사'로 바꿨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