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사실 확인 및 검증을 명확하게 하지 않은 상황에서 스스로 '의혹'이라고 규정한 것을 구실로 육군사관학교(육사) 내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를 시도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비판을 두고 '이념 전쟁'으로 규정하는 적반하장 식의 태도를 보였다. 28일 국방부는 '육사의 홍범도 장군 흉상 관련 국방부 입장'이라는 제목의 문서에서 홍범도 장군이 소련 공산당에 가담했다며 "홍범도 장군이 1921년 6월 러시아공산당 극동공화국 군대가 자유시에 있던 독립군을 몰살시켰던 자유시 참변과 연관되어 있다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국방부는 "1991년 한·소 수교 직후 발굴한 소련 측 정부문서에 따르면, 홍범도 장군이 1930년대에 소련 정부로부터 연금을 받기 위해 작성한 이력서에 '자유시 유혈사태에 대해 보고하기 위해 한인 빨치산 지대 대표단원 자격으로 레닌 동지를 만나러 모스크바로 갔다'로 되어 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자유시 참변사태는 1921년 6월에 자유시에서 무장해제를 거부한 독립군이 공격당한 사건을 말하는데, 홍범도 장군은 순순히 무장해제하는 편에 섰다는 평가"라며 "이때 독립군측이 400명에서 600명까지 사망하였고, 약 500명이 재판에 회부되었다고 하는데, 당시 홍범도 장군이 독립군을 재판하는 위원으로 참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의 설명만 보면 홍범도 장군이 자유시 참변에 개입했거나 독립군을 소탕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 부분은 역사학계에서도 논쟁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공론화 과정이 없는 상황에서 국방부의 의혹에 근거한 입장 발표는 신뢰가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29일 정례브리핑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군 내외 자료 또 확인된 내용들을 토대로 입장을 정리해서 알려드린 것"이라며 역사학계나 기타 외부의 자문을 받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정부로부터 훈장도 받은 인물을 기존과 다르게 평가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보훈부나 독립기념관 등 소관 부처와 협의도 하지 않았냐는 지적에 전 대변인은 "소관 부처와 어떤 협의가 있어서 입장문을 낸 것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국방부가 독립유공자 공적을 평가하고 의혹을 제기하는 등의 행위를 할 권한이 있냐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대해 전 대변인은 "법적인 평가를 따지는 것은 아니고 사관생도들 교육기관에서 기관의 교육 목표와 내부에 있는 조형물 인물과 적절성이 있는지를 따져보고 그에 따라서 종합발전계획에 따라 필요한 조정을 할 수 있다는 측면"이라며 정확한 답을 하지 않았다. 해당 자료를 정신전력원과 국방부 정책실에서 만들었냐는 질문에 그는 "정신전력원은 연계됐는지 잘 모르겠고 정책실, 관련 부서 등에서 받은 입장을 정리한 자료"라며 근현대사나 독립운동사 전공한 사람이 검토한 것이냐는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내놓지 못했다. 국방부가 입장 자료를 작성한 과정뿐만 아니라 내용의 신뢰성에도 문제가 제기됐다. 우선 자료만 보면 홍범도 장군이 자유시 참변에 가담해 독립군을 학살한 것처럼 해석되는 측면이 있다. 이에 대해 참변이 아니라 그 이후 정리 과정에서 홍범도 장군이 개입됐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전 대변인은 "맞다"라고 답했다. 정부는 홍범도 장군이 자유시 참변과 연관되어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지만, 실제 학계의 다수는 '공식 자료에는 자유시 참변에 가담했다는 기록 자체가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전 대변인은 "자유시 참변 연관성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학계에서 의견이 있는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홍범도 장군이 재판위원으로 활동한 것과 관련해서도 정부는 그가 독립군을 몰아내는 데 일조한 것처럼 해석될 내용을 기술했지만, 실제 홍범도 장군은 독립군을 옹호하고 변호하려고 했다는 평가가 많다. 이와 함께 국방부는 홍범도 장군의 공산당 가담을 문제삼기도 했다. 국방부는 해당 자료에서 "홍범도 장군은 1922년 코민테른(국제공산당)이 개최한 '극동민족혁명단체 대표대회’에 한인대표 52명의 일원으로 참석하였고, 동년 레닌으로부터 권총, 상금, 친필서명된 '조선군대장' 증명서를 접수하였으며, 1927년에는 소련공산당에 입당하는 등은 분명한 역사적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국방부는 "홍범도 장군의 독립운동 업적은 업적대로 평가하되, 이후 소련공산당 활동에 동조한 사실들에 대해서는 달리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다"라며 "더욱이 북한의 김일성이 소련공산당의 사주를 받고 불법 남침하여 6.25전쟁을 자행한 엄연한 사실을 고려할 때 공산주의 이력이 있는 홍범도 장군의 흉상을 육사에 설치하여 기념하는 것은 육사의 정체성을 고려시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부분도 실제 역사적 사실을 보면 설득력이 떨어진다. 홍범도 장군이 활동했던 1920년대는 김일성 주석은 아직 활동도 하기 전이었다. 김일성 주석은 1912년 생이다. 또한 김일성 주석이 한반도에서 전쟁을 일으켰을 때 소련의 집권자였던 스탈린이 중심이었던 공산당과 1920년대 레닌이 혁명을 일으켜 세웠던 공산당과는 질적으로 상당히 다르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즉 정부가 명확하게 확인된 홍범도 장군의 독립운동 행적에 대해서는 눈을 감은 채, 자신들 스스로도 '의혹'이라고 불리는 사안들을 모아 홍범도 장군의 공산당 행적을 김일성, 스탈린과 연계하며 흉상 철거를 정당화하는데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이념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정부는 "일각에서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문제를 이념전쟁과 친일행각으로 부추겨 정치 쟁점화시키고 있는 현 상황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는 다소 황당한 진단을 내놨다. 이념 전쟁을 부추긴 쪽이 이게 문제라고 지적하는 사람들에게 오히려 이념 전쟁을 하고 있다고 덮어 씌우고 있다. 한편 전 대변인은 홍범도 장군의 흉상만 옮길 것인지, 아니면 김좌진, 지청천, 이범석 장군과 신흥무관학교 설립자 이회영 선생 등 5인의 흉상을 모두 옮길 것인지에 대해 "육사가 자체적으로 재정비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계획이 완전히 결론나서 어떻게 하겠다는 방향이 설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지난 2018년 6월 7일 봉오동전투 전승 98주년 기념 국민대회에서 육군사관학교장 명의로 홍범도 장군에게 명예 졸업장을 수여한 것과 관련, 졸업장도 회수할 것이냐는 질문에 전 대변인은 "제가 답변드릴 사항이 아니다"라며 답을 하지 않았다. 국방부에 위치한 홍범도 장군의 흉상 이전과 관련해서는 "지금 검토되고 있고 결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