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미투', 여성들의 마지막 몸부림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미투', 여성들의 마지막 몸부림 [안종주의 안전사회] 권력형 성범죄와 과학기술 활용
폭풍처럼 휘몰아치고 있는 대한민국의 '미투' 운동이 보여준 우리 사회의 민낯은 너무나 부끄럽다. 가해자들과 같은 하늘 아래, 같은 대지 위에 발을 디디고서 같은 공기를 숨 쉬고 있었다는 사실에 자괴감이 들 정도다.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는 여성들은 결코 안전하지 않았다. 국민 가운데 절반이 안심할 수 없는 사회에서 살아왔다. 성폭력과 성추행 등 성범죄에서 말이다.

더군다나 같은 조직이나 직장에서 일상적으로 만나면서 상하 내지는 종속 관계를 악용해 저지른 권력형 성폭력의 대담성과 광범위성을 생각하면 우리 사회는 정의와 행복을 좆았던 것이 아니라 불의와 불행이 가득한 지옥이나 다를 바 없었다. 피해자들이 그 오랜 세월 그렇게 지내왔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따름이다.

권력형 성폭력뿐만 아니라 때론 친구 사이, 동창 사이, 그리고 가정과 친족 내에서 벌어진 성폭력과 폭력형 성범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까지 생각하면 피해자는 물론이고 이를 지켜보는 사람들도 우리 사회에 대해 환멸을 느낄만하다.

'미투'는 남성에 대한 여성의 저항 아냐

가해자의 자살, 가면을 쓴 듯한 가해자의 사과, 가해자와 피해자 간 공방, 가해자와 폭로 언론과의 대립, 정치적 음모론 등 대한민국의 '미투'는 사전 시나리오가 없었던 탓인지 행선지도 종착역도 없이 예상치 못한 곳으로 흘러가고 있다. '미투' 운동은 한때 벌어졌던 소동이어서는 결코 안 된다. '미투' 운동은 인권운동이자 권력에 대한 저항운동이다. 남성에 대한 여성의 저항 운동이 아니다.

그동안 사실이 명백한 것처럼 보였던 이윤택·조민기·안희정 씨 등과는 달리 민병두 의원, 특히 정봉주 전 의원의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서는 사실 관계를 놓고 가해자로 지목된 이들이 인정하지 않으면서 피해자와 이를 보도한 언론과 한 치도 양보할 수 없는 다툼을 벌이고 있다. 서로간의 공방이 치열할수록 양쪽의 뇌를 들여다볼 수 있는 과학기술이 없을까하는 생각까지 하게 만든다.

뇌는 우리가 보고 듣고 느낀 모든 것을 담는 기억과 지식의 저장고이다. 몇 달 전이든, 몇 년 전이든, 몇십 년 전이든 잊으려 해도 잊기 힘든 경험과 사건은 기억창고 깊숙한 곳에 보관된다. 물론 일상생활에서 반복적으로 벌어지거나 너무나 자주 일어나는 사소한 경험과 사건 등은 얼마 지나지 않아 전혀 기억나지 않거나 기억이 선명하지 않다.

성폭력·성추행 특이한 장소와 행태 때 더 오래 기억

따라서 성폭행이나 특별한 성관계보다는 성추행, 성추행보다는 성희롱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선명하게 기억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성추행과 성희롱도 장소와 시간, 행태 등 그 특성에 따라 나름대로 오랫동안 뚜렷하게 기억할 수도 있다.

첫째, 피해자가 이를 겪은 장소와 날짜가 특이할 때 그렇다. 여럿이 어울려 회식을 하거나 술을 마시면서 겪은 성희롱은 시간이 흐르면서 쉽게 잊힐 수가 있다. 때론 성추행의 경우도 가벼운 것이었다면 시간이 흐르면서 때와 장소, 그리고 함께 있었던 이들이 잘 생각나지 않을 수 있다.

둘째, 위력에 의한 것이든, 위계에 의한 것이든 성폭행을 당한 피해 당사자는 수십 년의 세월이 지나도 당시 상황이 조금 전 보았던 영화의 장면처럼 떠오를 것이다. 또 그리 심각한 성추행이나 성희롱이 아니었다 하더라도 피해자가 이를 자주 떠올리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가끔 이야기했다면 상당한 시간이 지나도 당시 상황을 비교적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고 때와 장소까지도 기억창고에 보관돼 있을 수 있다.

권력형 성범죄도 결국 뇌가 저지른 범죄

흉악범이든, 성범죄자이든 그들이 범죄를 저지른 것은 그들의 뇌가 그들로 하여금 범죄 생각과 범죄 행동을 하도록 명령을 내렸기 때문이다. 인간은(뇌를 지닌 다른 동물도 마찬가지지만) 뇌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 생각도 할 수 없고, 인지하며 행동할 수도 없다. 행동하는 양심은 뇌의 영역이자 뇌가 만든 결과물이다.

성욕과 권력욕, 권력형 성범죄 행동, 말과 의지, 정의감과 행복감, 불의에 대한 분노와 사랑, 미움, 악플·선플 달기, 타인과의 소통, 자신과의 소통, 거짓말, 진실 말하기, '미투'와 '위드유', '미퍼스트' 등 인간 세상에서 벌어지는 거의 모든 것이 실은 정교하고 놀라운 뇌의 산물이다.

선진국에서는 물론이고 우리나라에서도 그 어떤 방법으로도 상습적 성범죄를 막기 힘든 이들에 대해서는 사회의 안녕을 위해 화학적 거세를 허용하고 있다. 많은 인간들이 성도덕과 관련해 타락 또는 일탈을 보이지만 성범죄를 저지르는 사람은 결코 다수가 아니다. 권력형 성폭행도 마찬가지다. 권력, 특히 특정 분야에서 무소불위에 가까운 권력이나 권위를 지녔다고 해서 그들이 성범죄를 저지르지는 않는다.

왜 그런 차이를 보일까? 앞서 말한 대로 성범죄도 뇌의 명령에 따라 행동한 결과이다. 이번 '미투' 운동에서도 드러났듯이 만약 상식적으로도 도저히 납득하기 힘들만큼 상습적으로 성폭행 일어났다면 가해자들의 뇌는 보통 사람들의 그것과는 확연히 다를 가능성이 있다. 그들의 뇌가 다르다면 조기에 이를 찾아내 상습적 성범죄를 저지르지 않도록 조처함으로서 사회 안녕을 지킬 수 있지 않을까.

'미투' 가해자의 뇌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아니면 이들에게는 보통 사람과는 다른 호르몬 변화나 뇌 신경전달물질의 차이가 있다면 이를 잘 치유하면서 더 이상 성범죄의 나락에서 구할 수 있지 않을까? 이상행동, 특히 비정상적 성행동은 특정 호르몬 물질의 과다나 신경전달물질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과학자들은 매우 착하고 조용한 사람이 뇌에 심각한 상처를 입은 뒤 폭력적 행태를 보인 것을 밝혀냈다. 범인은 뇌였다.

이와 함께 성범죄 또는 성추행을 놓고 가해자와 피해자 간 진실 공방이 벌어졌을 때 착각하는 뇌와 거짓말 하는 뇌를 찾아낼 수 있는 과학기술이 있다면 그 사회에서는 더는 거짓말하는 일들이 벌어지지 않을 것이다. 진실을 놓고 서로 얼굴 붉히는 공방을 벌이지 않아도 되고 음모론도 더는 들먹이지 않게 될 것이다.

현대과학기술의 발달은 이제 미리 꾸민 거짓말을 알아차릴 수 있는 단계에 근접했다. 즉흥적인 핑계나 거짓말 등 다양한 형태의 거짓말을 인식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했다. 자기공명영상장치(MRI)의 덕분이었다. 하지만 아직 완벽하지는 않다. 한 실험에서는 90~93%의 정확도로 거짓말하는 범인을 족집게처럼 찾아냈다. 아직 100%는 아니다. 거짓말탐지기처럼 진실 찾기 보조 수단으로는 사용할 수 있지만 형사처벌하는 수단으로 삼기에는 2% 부족하다.

우리 사회에서 펼쳐지고 있는 '미투' 운동은 이 땅의 여성들이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세상에서 살고 싶은 마지막 몸부림이다. 물론 일회성의 사소한 실수나 성희롱 등까지도 마치 중대한 성범죄인양 포장해 필요 이상의 손가락질과 비난을 그에게 퍼부어 인격을 말살하거나 가족까지 고통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터이다.

하지만 성범죄는 언제나 피해자의 입장에서 모든 것을 바라보는 자세가 중요하다. 우리 사회 '미투' 운동의 방향이자 원칙이기도 하다. 모든 여성이 안심하고 사회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을 만드는데 뇌과학 등 현대과학기술이 기둥 역할을 할 수 없을까하는 생각을 요즘 더욱 자주 하게 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원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2-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안종주 박사는 <한겨레> 보건복지 전문기자를 지냈으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8년부터 <프레시안>에 '안종주의 위험 사회' '안종주의 건강 사회' '안종주의 위험과 소통' 연재 칼럼을 써왔다. 석면, 가습기 살균제, 메르스 등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는 각종 보건 및 환경 보건 위험에 관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시민들과 소통하며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 <석면, 침묵의 살인자> <위험 증폭 사회> 등 다수가 있으며, 최근 코로나19 사태를 맞이해 <코로나 전쟁, 인간과 인간의 싸움> <코로나19와 감염병 보도 비평>을 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