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급속히 재확산하는 가운데, 한계에 처한 의료인력 재충원이 시급하다는 요구가 현장 의료인을 중심으로 나왔다. 의료인들은 특히 "기존 방식대로는 2차 펜데믹을 막을 수 없다"며 신속한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8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이하 의료연대)는 "모두가 2차 펜데믹을 이야기하지만, 부족했던 간호 인력은 여전히 채워지지 않았다"며 "지난 시간 코로나19 환자를 돌본 간호사들이 더는 일할 수 없을 정도로 소모됐다"고 호소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2차 펜데믹을 대비해 생활치료센터와 거점전담병원을 지정하는 등 코로나19 병상 공동대응계획을 발표했다. 병상을 사전에 확보해 의료 혼란을 막겠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아직 구체적인 인력운용계획, 병실운용계획은 나오지 않았다. 구체적인 방안이 없다면 현장 준비는 이뤄질 수 없다고 의료연대는 강조했다. 의료연대는 "특히 중환자 간호는 대학병원에서도 2~3년에 걸친 훈련이 필요한 분야"라며 "병상을 확보하더라도 인력을 사전 충원하고 준비하지 않으면 실제로는 아무 대응도 할 수 없다는 것이 대구의 경험"이라고 강조했다. 의료연대는 과거 대구 신천지 사태 당시 현장 의료가 얼마나 급박했는지를 상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의료연대는 당시 환자가 쏟아지는 와중에 “병실청소, 의료폐기물 처리, 식사 배식, 입·퇴원 시 침구 정리, 환자 환복, 환자 식사보조, 보호복 등 감염관리 교육, 택배전달, 탈출 환자 데려오기 등이 모두 간호사에게 집중됐다"며 의료현장 상황이 방역당국의 판단보다 더 엄중했다고 강조했다. 사태 당시 전국 각지의 파견인력이 대구로 집중돼 사태를 막았으나, 파견인력 중심으로는 상황 대응이 되지 않는다고 의료연대는 지적했다. 의료연대는 "파견인력으로는 환자 의무기록작업조차 할 수 없고, 어떤 의료장비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파악하는 것도 불가능한 게 현실"이라며 "당장 정부 공약대로 공공병원과 거점병원부터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적정 간호인력을 사전에 배치해 사적인 고용간병인 등의 상주를 제한하고 총체적인 전문 간호를 시행하는 조치다.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해당 제도 병상을 크게 늘려야 코로나19 대유행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게 현장 입장이다. 그만큼 전문 인력의 충분한 배치가 필요하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간호인력의 감정 노동 등 혹사가 커, 대규모 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오랜 기간 나왔다. 의료연대는 정부를 향해 "현장 간호사를 존중하는 방법은 '덕분에 챌린지'와 같은 행사가 아니"라며 "이들이 이후에도 같은 상황에 놓이지 않도록 인력을 충원하고 현장을 바꾸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