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의 코로나19 '과학 방역'을 둘러싼 사회적 궁금증이 장기간 이어지고 있다. '과학 방역이란 무엇이냐'에 관한 정의가 아직 세워지지 않은 가운데 28일 의료 전문가들이 답을 내놨다. '이전 정부에서 하던 방역이 이어지는 것'이라는 답변이었다. 이날 오전 충북 청주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질병청 주최 '코로나19 전문가 초청 설명회'에서 김남중 서울대 감염내과 교수는 '새 정부의 '과학적 위기대응' 방역정책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긴 설명을 통해 "과학적 근거를 갖고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김 교수는 "과학적 방역이라 함은 현 상황에서 우리가 가질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다 모아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고 "현재 방역 목표는 중환자 수 최소화, 사망자 수 최소화"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같은 대응 과정에서 "변이의 특성, 백신·치료제 등을 고려해서 합리적인 정책 결정을 하는 것이 과학 방역 대책"이라고 김 교수는 덧붙였다. 아울러 "현재 갖고 있는 최대한의 과학적 근거로 대응하는 것이 '과학적 대응'"이라고 부연했다. 이 같은 의학 전문가의 모범적 답변이 현재 세간의 궁금증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한다고 본 듯 백경란 질병청장이 바로 추가 설명을 했다. 백 청장은 "지난 2년 6개월간 쌓인 근거를 기반으로 해서 우리가 정책을 최대한 정교하게 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라며 "불확실성에 대응해가는 과정에서 전문가 의견을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또 정책으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정재훈 가천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팬데믹이 2년이 지나면서 이제는 국민들의 부담과 걱정을 덜어드리고 일상회복을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들이 당국과 전문가의 의무"라며 "그러한 관점에서 지금의 방역정책은 지난 2년간의 연속선상에 있는 그런 정책들"이며 "과거의 성과에 기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최근의 방역 정책을 두고 국민 대다수가 "큰 변화가 없다고 느끼실 수도 있고, 오히려 지금은 (과거보다) 하는 일이 많이 줄었다고 느끼실 수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리하자면 지난 정부에서 코로나19 대응 초기 시행착오를 거치며 정리한 방역정책 기조와 성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 정부의 '과학 방역'이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는 '과학 방역' 논란을 처음 꺼낸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의 주장과 배치된다. 안 의원은 지난 대선 당시 전 정부 방역 정책을 '정치 방역'으로 규정하고 새 정부는 '과학 방역'을 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나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과학 방역'이 무엇인지가 계속 논란이 되자 전문가 초청 설명회에서까지 해당 질문에 관한 의학 전문가들의 설명이 나오는 자리가 만들어지게 됐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정치 방역'이란 무엇인가에 관한 논란이 이어져야 논리적으로 맞아 떨어질 지 모른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