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기후변화 부정론자'의 전략이 바뀌었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기후변화 부정론자'의 전략이 바뀌었다 [커버링 클라이밋 나우] 기후변화 부정에서 회의론으로
기후 변화를 부정하는 목소리가 새로운 클리셰를 들고 왔다. 디지털 혐오 발언과 잘못된 정보를 연구하는 비영리 단체인 디지털 혐오 대응 센터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은 지구가 온난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거부하는 대신 과학자 및 활동가들이 기후 변화가 해를 끼칠 것이라며 제안하는 기후 해결책에 대한 회의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단체의 분석에 따르면 기후 변화에 대한 노골적인 부정은 더 이상 설득력 있는 주장이 아니기 때문에 기후 회의론자들은 인류가 기후 변화를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또는 이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념적 싸움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또한 기후 변화의 존재와 원인에 대한 과학적 합의를 거부하는 콘텐츠에 대한 광고 수익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유튜브의 모회사 구글의 콘텐츠 정책이 실효성이 없으며 업데이트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단체의 CEO인 임란 아메드는 기자회견에서 "이 싸움에서 새로운 전선이 열렸다"며 "기후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하던 사람들이 이제는 '기후 변화는 일어나고 있지만 희망은 없다. 해결책도 없다'고 말하고 있다"고 했다. 지구 시스템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인간이 화석 연료를 태우면 대기 중 열을 가두는 가스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지구가 온난화된다는 데 수십 년 동안 동의해 왔다. 화석 연료가 경제를 주도하기 시작한 산업화 시대 이전부터 지구는 평균 섭씨 1.2도 정도 기온이 상승했다. 퓨 리서치 센터에 따르면 기후 변화에 대한 미국 대중의 인식은 최근 수십 년 동안 변화했지만, 여전히 고도로 정치화된 상태이다. 비영리 환경 및 에너지 연구소는 2월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미국인들은 지구 온난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인간이 초래한 심각한 문제라는 사실을 점점 더 확신하고 있다"며 "또한 미국인들은 기후의 영향이 지금 여기에 있다는 사실을 점점 더 잘 이해하고 있으며, 더 많은 정부의 조치를 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디지털 혐오 대응 센터는 소셜 미디어 기업에 책임을 물음으로써 "인권과 시민의 자유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아메드는 이 단체가 "기후 운동과 긴밀하게 통합되어 있다"고 했다. 이 단체는 분석을 위해 인공 지능 모델을 사용하여 보수 미디어 채널인 <블레이즈 TV>와 자유 시장 싱크탱크인 하트랜드 인스티튜트의 동영상을 포함하여 기후 변화 부정 콘텐츠를 제공하는 96개 채널의 1만2000개 이상의 유튜브 동영상에서 사용된 논거를 평가했다. 해당 동영상은 2018년 1월부터 2023년 9월까지 게시되었다. 보고서는 '딥 러닝 모델'이 유튜브 기록을 처리하고 특정 기후 부정 주제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했다고 밝혔다. 독립 평가자들은 텍스트 기록의 일부를 확인하고 모델의 정확성을 평가했다. 이들은 이 모델이 약 78% 정도 부정 주장을 정확하게 찾아냈다고 했다. 아메드는 "대규모 분석을 통해 트렌드를 나타내는 매우 강력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했다. 연구진은 5년이 넘는 기간 동안 기후 해결책이 효과가 없거나 과학이나 운동 분야의 기후 옹호자들이 신뢰할 수 없다는 주장이 각각 21.4%와 12% 포인트 증가했다고 말했다. 지구 온난화가 전혀 일어나지 않고 있다는 생각은 34.3% 포인트 감소했다. 외부 연구자들은 이 분석이 최근 몇 년 동안 관찰한 추세를 반영한다고 말했다. 호주 멜버른대학교 멜버른 행동변화센터의 선임 연구원인 존 쿡은 디지털 혐오 대응 센터에서 사용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다. 쿡의 연구는 1998년부터 2020년까지 기후변화에 반대하는 블로그와 보수적인 싱크탱크 웹사이트의 동향에 초점을 맞췄다. 동료 심사를 거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게재된 이 연구에서도 비슷한 추세가 발견되었다. 쿡은 이메일을 통해 "기후 관련 허위 정보의 미래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기후 과학 자체를 공격하는 데 점점 더 집중될 것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해결책을 겨냥한 허위 정보는 기후 행동을 지연시키기 위한 것이고, 기후 과학을 공격하는 허위 정보는 기후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약화시킨다." 기후 변화에 대한 미국인의 신념과 의견을 조사하는 조지 메이슨 대학교 기후 변화 커뮤니케이션 센터의 연구 부교수인 존 코처는 비슷한 경향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그의 여론조사는 미국인들에게 지구 온난화 전문가에게 어떤 종류의 질문을 할 것인지 묻는다.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응답자들은 지구 온난화가 사기인지, 지구 온난화가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지, 전문가들이 지구 온난화를 어떻게 알고 있는지, 지구 온난화가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것인지와 같은 질문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고 여론조사 결과에서 밝혔다. 코처는 "이는 기후 변화가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기후 변화가 얼마나 심각한 문제인지, 실제로 얼마나 나쁜지, 제안된 해결책이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초점을 맞추는 등 반대 메시지가 전략적으로 초점을 옮겼다는 개념과 일치한다"고 말했다. 코처는 자신의 연구에 따르면 기후 변화에 대한 행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기후 변화가 실재하고, 인간이 주요 원인이며, 과학자들이 이 두 가지 아이디어에 동의하고, 기후 변화가 오늘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다른 사람들이 기후 변화에 관심을 갖고 있고, 해결책이 현재 존재한다는 일련의 핵심 사실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기후 변화의 존재라는 핵심 전장 중 하나에서 휴전을 선언하는 것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보다 사실에 기반한 이해를 갖도록 하는 올바른 방향으로 조금 더 나아가는 것이다"라고 코처는 말했다. 디지털 혐오 대응 센터의 보고서는 유튜브의 기후 허위 정보에 대한 정책을 겨냥해 유튜브가 부정적 내러티브의 수익화를 막지 못하고 있다며, 기후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노골적으로 부정하는 '오래된 부정'으로 분류한 동영상에 대한 광고 스크린샷을 첨부했다. 이 비영리 단체는 유튜브와 구글이 기후 변화의 '원인, 영향 및 해결책'에 대한 과학적 합의를 거부하는 '새로운 부정'으로 분류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도록 수익 창출이 불가능한 콘텐츠의 종류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튜브에는 기후 변화에 관한 콘텐츠를 포함하여 의심스러운 콘텐츠를 검토하는 시행 팀이 있다. 유튜브는 디지털 혐오 대응 센터의 보고서를 검토한 결과, 센터가 인용한 일부 동영상이 기후 변화 정책을 위반했다는 데 동의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동영상은 정책을 준수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튜브 대변인인 네이트 펑크하우저는 이메일을 통해 "유튜브의 기후 변화 정책은 기후 변화의 존재와 원인에 대해 잘 정립된 과학적 합의에 반하는 콘텐츠에 대한 광고 게재를 금지한다"고 말했다. "공공 정책이나 연구를 포함하여 기후 변화 주제에 대한 토론이나 논의는 허용된다. 그러나 콘텐츠가 기후 변화를 부정하는 도를 넘으면 해당 동영상에 광고를 게재하지 않는다. 또한 관련 동영상 아래에 정보 패널을 표시하여 기후 변화에 대한 추가 정보와 제3자의 맥락을 제공한다."

'커버링 클라이밋 나우(Covering Climate Now)'는 영국 가디언지와 컬럼비아 저널리즘 리뷰 등이 공동으로 설립한 국제 기후위기 저널리즘 기구이다. 로이터, 블룸버그, CBS, PBS, 알자지라 등 전 세계 500여 개 매체사가 파트너사로 활동하며, 한국에서는 프레시안, TBS, 한겨레21, 동아사이언스, 조선사이언스, 뉴스트리 등이 파트너사로 활동한다. NBC뉴스가 16일 보도한 'On YouTube, climate denialism takes a turn'의 주요 내용을 번역 소개한다.

▲기후변화에 대한 논쟁을 주제로 생성형AI가 생성한 이미지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원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2-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홍기혜
프레시안 편집·발행인. 2001년 공채 1기로 입사한 뒤 편집국장, 워싱턴 특파원 등을 역임했습니다. <삼성왕국의 게릴라들>, <한국의 워킹푸어>, <안철수를 생각한다>, <아이들 파는 나라>, <아노크라시> 등 책을 썼습니다. 국제엠네스티 언론상(2017년), 인권보도상(2018년), 대통령표창(2018년) 등을 받았습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