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부터 사회학적으로 '세대론'은 자주 사용된다. 최근에는 MZ세대가 대표적이다. 1980~1994년 사이에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와 1995년 이후에 태어난 'Z세대'를 통칭하는 말이다. 이전 세대와 달리 조직과 자신을 분리하고 ‘워라밸’을 지키는 세대로 규정된다.
그런 의문도 든다. 1980년대 이후에 태어난 이들은 모두가 그런 성향을 가지고 있는 걸까. 더 정확히는 자신의 근무조건에 적극 문제제기를 하고, 보장된 휴식시간을 반드시 지키며 살아가고 있을까.
같은 세대 내에도 부모의 능력과 교육, 성별, 태어난 지역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이는 불평등으로 확대된다. 그러나 우리는 그저 '어떤 동질성'이 같은 세대라고 치부하며 그들을 MZ로 묶어버린다. 이것이 타당한지는 의문이다. 자칫 불평등과 차별을 정당화하거나, 은폐 내지는 재생산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프레시안>은 전수경 노동건강연대 활동가가 만난 10명의 도시 속 여성노동자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들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MZ세대이나 그들이 우리가 생각하는 MZ세대의 삶을 살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도시 속 2030 여성들이 어떤 '노동'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자. 편집자
지난해 2023년의 7월이었다. 서울역에서 기차를 타고 남동쪽으로 가다 니은과 만나기로 한 역에 내렸다. 산업단지가 넓게 조성되어 있고 노동자들이 주거와 소비를 하기 위한 배후 도시가 팽창하고 있는 곳이었다. 한여름의 기차역 앞은 그늘이 없었다. 초록색 나무 같은 건 보이지 않았다. 신축 상가 건물들이 역을 둘러싸고 있었다. 원색의 간판들이 상가 외벽에 가득했다. 간판은 식당, 카페, 주점, 헤어샵 같은 것들이었다. 먹고 즐기고 가꾸어야 하니 돈이 돌 것이다. 어느 쪽으로 고개를 돌려도 아파트 단지가 줄지어 있었다. 공사가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은 듯 도로며 인도며 정리가 덜 돼 있었다. 일을 찾아서 돈을 벌 기회를 잡기 위해서 모여들고 떠나가고 흘러가는 사람들이 그려지는, 어딘지 들뜨고 낯선, 그러나 스산한 느낌의 신도시였다. 니은과 만난 카페는 평일 낮이어서인지 한산했다. 니은은 산업단지의 공장에서 일한다. 이 도시에서 멀지 않은 농촌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른 살이 된 지금까지 사회생활 10년 차, 고등학교 때의 알바까지 치면 10년은 훌쩍 넘었다. 니은은 '청년여성 산재회복 지원사업' 뉴스를 인터넷 검색으로 찾았다고 했다. 니은이 일하는 회사는 전자제품 부품을 만드는데 코로나 기간 원청회사가 수출에 자질이 생기면서 원청회사에 납품하는 니은의 회사와 같은 중소기업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비슷한 업종의 기업들 중에 생산품을 전환한 곳도 있고 이미 문을 닫은 공장도 있었다. 허리까지 다친 니은은 회사에서 언제라도 나가라고 할 수 있다는 생각에 '여성' '지원' '노동' 같은 키워드를 검색창에 쳐 보았다. 잘릴 경우 도움을 받을 곳이 있는지 찾아두어야겠다고 생각했다. 병원 가기를 미루고 있는 허리도 이대로 둘 수는 없었다. 니은의 회사는 노동자 수를 서서히 감축해 나가고 노동시간도 줄이면서 대응하고 있었으니 합리적인 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런데 회사는 직원들이 고개를 갸웃하는, 특히 여성 노동자들이 수긍하기 어려운 방법을 사용했다. 어떤 방법이 있어서 사용했다기보다 콕 찍어서 문제라고 말하기도 어렵고 문제가 아닌 것도 아닌 방법이었다. 회사가 이들을 자른 것은 맞는데 증거는 남지 않는다. 앉아서 일하던 사람을 서서 일하는 라인으로 보내거나 컴퓨터 일을 하던 사람을 창고로 보내는 동시에 근무일을 줄인다. 회사는 나가라는 말을 하지 않는다. 직원의 입으로 말할 때까지 기다린다. 회사가 이긴다. 나가는 사람은 몇 개월 실업급여도 없이 허허벌판으로 내동댕이쳐지는 상황이 되지만 회사는 정부가 주는 보조금이 항상 들어오는 상황이 유지된다. 정부가 중소기업의 경영난을 해소하고 고용을 창출하라고 주는 고용지원금은 노동자를 해고하는 기업에는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방법으로 수백 명이 나갔고 나간 사람보다 적은 수의 사람들이 남았다. 니은이 이상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나간 사람들이 거의 다 여성이었다는 것이고, 나간 수백 명 중에 한 자리 수의 사람들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얻는 '해고'를 당했는데 그들은 남성이었다는 것이다. 어떤 남성 직원에게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겠다고 말하는 회사 관리자를 보기도 했다. 일은 다 비슷했고 남성 직원들이 하는 일은 니은도 할 수 있는 일이었다. 남은 사람들은 처음에는 월화수목금토일 7일 중에 4일만 일을 했고 나중에는 주중에 이틀만 출근을 했다. 3년 전 회사에 입사할 때는 월급을 받는 전일제 노동으로 근로계약서를 썼지만 어느 새 시급제로 변해가는 것 같았다. 주야 맞교대를 할 만큼 일이 엄청 들어올 때가 있었는데 그때는 250만 원 이상을 받았다. 이제는 200만 원이 안 되는 돈이 들어온다. 월급 200만 원, 니은의 생활은 어떨까. 50만 원 월세를 살다 청년전세대출을 받아 전세로 옮겼다. 코로나가 한창일 때 이자가 적을 때였다. 타지에서 오는 구직자들이 많은 지역이라 전세 수요는 많은데 정부 전세대출 요건에 부합하는 전세는 구하기가 어려웠다. 주택소유주들의 대출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니은도 정부대출제도가 아닌 인터넷은행 청년전세대출을 받아야 했다. 대출 초기보다 이자가 두 배 가까이 올랐다. 월급의 10%가 넘는 돈을 이자로 내고 집에 계신 부모님과 대학에 다니는 남동생에게 용돈을 보냈다. 다행히 남동생이 취업을 해서 용돈은 부모님에게만 드린다. 적금을 붓고 싶지만 아직 여유가 안 된다. 니은의 경제생활은 식비 통신비 보험료 공과금이 빡빡하게 기록되어 있는 스마트폰 가계부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청년전세대출 제도의 사각지대와 고향 가족의 사정까지 들어야 알 수 있는 것이었다. 니은은 고등학교를 다니던 방학에는 읍내 편의점에서 야간 알바를 해서 돈을 모았다. 야간 알바가 끝나면 새벽 첫차를 타고 집에 가야 했지만 대학교에 갈 등록금을 모으고 싶었다. 편의점 알바로 등록금은 모이지 않았다. 부모님은 아들인 남동생의 대학교 학비만 지원할 수 있다고 했고 니은도 수긍했다. 중학교 때까지 남성들이 밥을 먹고 난 자리에서 여성들이 밥을 먹던 가족들이었다. 스무 살이 되어 '여자 혼자서 돈을 벌 수 있고' '돈을 모아서 풍족하게 살 수 있는' 직업을 찾고 싶었다. 미용사 자격증을 땄다. 집에서 버스로 출퇴근할 수 있는 도시들의 미용실에 몇 해 동안 다녔다.* 이 연재는 2023년 '노동건강연대'와 '아름다운재단'이 함께 한 <청년여성 산재회복 지원사업>에서 만난 여성들, 노동건강연대가 활동하면서 만난 여성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