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낙동강 어부의 탄식 "제발 강답게 만들어 달라"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낙동강 어부의 탄식 "제발 강답게 만들어 달라" [언론 네트워크] "4대강사업 이전 하루 벌이가 지금은 한 달 벌이...수문 열어 강 흐르게 해야"
매일 강으로 출근하는 낙동강 어부

입춘이 지난 날 다시 찾아온 최강 한파가 몰아치는 지난 11일의 낙동강. 늙은 어부는 칼바람마저 몰아쳐 체감온도가 영하 20도는 거뜬할 날에도 조업을 위해 강으로 나왔다.

"매일 나온다. 비록 물고기는 없지만 그래도 배를 타야 한다. 이게 내 일이다. 지난 20년간 매일 한 일이다."

▲ 낙동강 어부 전상기 씨는 매일 조업에 나선다. 한달 벌이 20만원. 그렇지만 안 나갈 수가 없다. 그의 일이기 때문이다. ⓒ대구환경운동연합(정수근)

이렇게 추운 날도 조업을 하느냐는 기자의 물음에 돌아온 대답이다. 그랬다. 고령군 다산면에 살면서 낙동강서 조업을 하는 어부 전상기 씨(65세)는 하루도 빠짐없이 강을 찾았다. 그러기에 그는 누구보다 강을 더 잘 알고 이해하고 있었다.

"여름이면 강에서 시궁창 냄새가 난다. 특히 흐름이 완전히 없는 곳은 역겨운 냄새가 나 접근을 할 수가 없을 정도다. 강이 썩어간다는 것이 헛말이 아니다. 이대로 두면 낙동강은 회생불능의 상태가 될지도 모른다."

강의 변화를 누구보다 직접적으로 느끼는지라 안타까움과 분노가 동시에 느껴지는 듯했다. 낙동강을 이렇게 만든 이들에 대한 분노. 매일 조업을 나오는 이유가 뭘까 궁금했다. 고기도 잡히지 않는다는데.

"이 게 내 일이고, 이렇게 나와 비록 몇 마리 안 되지만 이거라도 잡아 모아야 그래도 팔 것이 나온다. 안 그러면 이 짓도 못 하는 기라."

▲ 강이 아니라 호수로 변한 낙동강. 전상기 씨 배에서 바라본 낙동강의 모습.ⓒ대구환경운동연합(정수근)

한 달 벌어도 이전의 하루 벌이도 안되는 현실

실지로 이날 기자와 함께 배를 타고 들어가 지난밤 쳐둔 그물을 직접 걷어봤지만 성적은 정말 기막힐 정도로 초라했다. 자망 넉 장에 잡힌 것은 겨우 강준치 두 마리가 다였다. 강준치는 붕어나 메기 등과 같은 이른바 '경제성 어종'이 아니라 팔지도 못하는 물고기다. 결국 이날 어부는 허탕을 친 것이다.

"이렇게 몇 마리 모아 모아 팔면 한 달에 한 20만원 정도 번다. 4대강사업 전에는 하루에 20만원 벌이는 쉽게 했다. 황금어장이었다. 재미도 좋았다. 도시에 살다 왔는데, 내가 한 만큼 벌고 맘 편하지 이보다 더 좋은 직업이 어딨을까 생각했다. 그래서 아직 이곳을 못 떠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 전상기 씨가 자망을 걷고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정수근)

전에 같으면 하루 벌이가 한달 벌이가 돼 있으니 참으로 기막힐 현실이다. 이런 현실이지만 강을 떠날 수 없는 현실이 더 아프다. 그는 어떤 것을 바라고 있을까?

"정부에서 수문개방을 한다는 데 빨리 했으면 좋겠다. 강은 흘러야 한다. 흘러야 물고기도 산다. 저 봐라 지금 물고기가 산란을 할 수 있는 데가 어디 있겠나? 습지가 다 사라졌다. 이런 곳에서 물고기가 어떻게 산란을 할 수 있겠나? 강이 흐르면 강 수위도 낮아지면서 수초도 자라고 습지도 생겨 강 생태계가 살아날 것이다. 그러니 수문을 열려면 빨리 열어주면 좋겠다."

달성군의 뱃놀이사업 때문에 굳게 닫힌 달성보

그러나 어부가 조업을 하는 구간의 하류 보인 달성보는 굳게 닫혀 있다. 정부의 지난 2차 개방 대상에서도 빠졌다. 낙동강에서 수질이 가장 안 좋은 구간이고 취수장도 없는데 왜 수문개방 대상에서 빠졌을까?

달성군이 반대했기 때문이다. 달성군은 이 구간에서 유람선 사업을 벌이고 있다. 개인이 하는 것도 아니라 달성군이 뱃놀이사업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그것도 강을 떠다니는 배가 아니라 바다에서 운항하던 배를 들여와서 강에서 운항을 하고 있다.

달성군이 사문진 나루의 역사와도 완전히 동떨어진 이상한 역사를 창조하고 있는 셈인데, 수문을 열게 되면 당장 이 사업을 벌일 수가 없게 된다. 달성군이 기를 쓰고 반대하는 이유다. 이 이유가 아니라면 달성보는 취수장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하안수위인 해발 6.6미터까지도 수위를 내릴 수가 있다. 달성보 관리수위가 해발 14미터이니 수위를 현재에서 7.4미터나 내릴 수가 있는 것이다.

7미터 이상이나 수위를 내렸다면 이 구간의 낙동강은 정말 볼 만했을 것이다. 세 강이 만나는 세물머리인 달성습지가 있는 구간이다. 이곳에 강물이 빠지면서 세 강이 만나던 옛 모습이 뚜렷이 나타날 것이고, 모래톱과 여울목도 드러나면서 살아 흐르는 강의 옛 모습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합천보 개방으로 나타난 강의 복원력을 실감한 터라 달성습지 또한 엄청난 복원력을 보여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 달성군이 벌이는 뱃놀이사업. 이 뱃놀이사업 때문에 결국 달성보의 수문을 못열게 되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정수근)

그러나 현실은 달성군의 뱃놀이사업에 발목이 잡힌 형국이다. 정부의 시책이 한 지자체의 역사성도 없는 뱃놀이사업에 발목이 잡혀 거대한 물그릇으로 남아있다. 그 자리에서 달성군은 오늘도 여전히 뱃놀이사업을 벌이고 있다.

이 뱃놀이사업 때문에 옛 모습의 낙동강을 되찾을 기회를 잃어버린 채 낙동강의 늙은 어부는 오늘도 잡히지 않는 고기를 잡아보겠다고 그물을 손질한다. 그가 이 정부에 바라는 것은 무얼까?

"우리 낙동강 어민들 제발 좀 살려 달라"

"붕어가 사라졌다. 낙동강에 붕어가 없다는 건 정말 심각한 일이다. 그래서 강을 흐르게 만들어주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당장 수문을 열 수가 없다면 치어방류사업이라도 해야 한다. 지금과 같이 지자체가 '찔끔' 하는 식으로 해서는 표시도 없다. 국가가 나서서 대대적으로 해야 살아날까 말까 할 거다."

한번 터진 말문은 계속해서 이어졌다.

"유해 어종 퇴치사업도 반드시 해야 한다. 배스, 블루길, 강준치 이런 고인 물을 좋아하는 외래종들만 지금 득시글하다. 이놈들이 우리 토종 물고기를 다 잡아 먹어치우고 있다. 정말 심각하다. 그러니 정부서 이런 외래종 물고기 수매를 해주면 된다. 그럼 어부들이 다 잡아낼 거다. 지금은 기름값도 안 나오는 실정이니 배를 몰지도 않는다."

▲ 넉 장의 자망에 걸린 물고기는 강준치 두 마리가 전부. 이날 고령 어민 전상기 씨가 잡은 물고기의 전부다. ⓒ대구환경운동연합(정수근)

이야기는 달성습지로까지 이어졌다.

"특히 산란철에 달성습지 같은 곳에서 유해어종을 잡도록 허가해줘야 한다. 이놈들이 그리로 가서 우리 토종 물고기 치어를 다 잡아먹는다. 물고기들이 금호강 같은 얕은 지천에서 산란을 하기 때문에 산란철에 달성습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허가해주면 어민들이 다 잡아낼 수 있다."

20년 동안 조업을 한 어부의 말에서 희망을 읽을 수 있다. 낙동강이 낙동강답게 복원될 조짐이 보이기 때문일까? 그는 문재인 정부에 큰 희망을 가지고 있는 듯했다.

"지금 정말 살 길이 막막하다. 그래도 이거라도 하지 않으면 안 되니 강에 나온다. 그렇지만 이대로 가면 오래 못 버틴다. 이 늙은 어부 좀 살려 달라. 강에서 평생을 살고 싶다. 강을 제발 강답게 만들어 달라."

▲ 조업을 마치고 배를 대고 있는 고령 어민 전상기 씨. ⓒ대구환경운동연합(정수근)

낙동강 늙은 어부의 바람이 헛되지 않도록 문재인 정부는 올 연말 현명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 강도 살고 어민도 사는 길, 바로 생명의 길로 낙동강을 이끌어야 할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현명한 결단을 기대해보는 이유다.

한편, 낙동강 대구경북 구간에서는 90여 명의 어부가 현재 조업을 하고 있고, 부산경남 구간에서는 450여 명의 어부가 조업을 하고 있다. 500명이 넘는 어부의 목숨이 낙동강에 달려 있다. 낙동강이 살아야 이들도 살 수 있다. 이들 500명의 목숨줄이 지금 위태로운 상황이다. 낙동강에 그들의 생계가 달려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들의 바람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프레시안=평화뉴스 교류 기사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원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