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탄핵소추안 표결 직전 전격 사임한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 사퇴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의 거취 결정은 "오직 국가와 인사권자인 대통령을 위한 충정"에서 나온 결정이라고 말했다. 이 전 위원장은 1일 오후 윤석열 대통령이 자신의 사표를 수리한 후 연 회견에서 "위원장직에서 사임하는 건 거대 야당의 압력에 떠밀려서가 아니다. 또 야당이 주장하는 것처럼 '정치적 꼼수'는 더더욱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전 위원장은 "지금 거대 야당이 국회에서 추진 중인 저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이뤄질 경우, (헌재에서) 그 심판 결과가 나오기까지 몇 개월이 걸릴지 알 수가 없다"며 "그 동안 방통위가 사실상 식물상태가 되고, 탄핵을 둘러싼 여야 공방 과정에서 국회가 전면 마비되는 상황은 제가 희생하더라도 피하는 것이 공직자의 도리"라고 했다. 그는 본인의 이후 행보에 대해 "어떤 자리에 있더라도 대한민국의 글로벌 미디어 강국 도약과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위해 제 역할을 다 할 것"이라고 여러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본인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한 더불어민주당에 대해 "이런 탄핵 폭주는 비판받아야 마땅하다"며 "국회의 권한을 남용해 마구잡이로 탄핵소추안을 남발하는 민주당의 헌정질서 유린 행위에 대해선 앞으로도 그 부당성을 알리고 계속 싸워나갈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국민 여러분께서 거대야당의 횡포에 대해 준엄한 심판을 내려주시리라 믿는다"며 내년 총선에서의 '야당심판론'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전 위원장은 "언론 정상화의 기차는 계속 달릴 것"이라며 윤 정부에 대한 야당 측 '언론탄압' 비판에 대해서도 기존의 입장을 유지했다. 그는 지난 달 27일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는 같은 표현과 함께 "백 번 양보해서 제가 그만두더라도 제2, 제3의 이동관이 나온다"며 본인의 자진사퇴설에 대해 "그럴 일은 없다"고 일축한 바 있다. '방통위 공백'을 막기 위해 자진사퇴한다는 이 전 위원장의 주장에 대해, 회견 질의응답에서 '국회에 계류 중인 방통위원 3인을 임명할 경우 위원장이 탄핵된 상황에도 방통위원 대행체제로 정상 운영이 가능하다'는 질문이 나오자 그는 "그건 야당의 논리"라며 반박했다. 그는 해당 지적에 대해 "위원회 시스템을 갖춘 것은 '숙의와 협의를 하지만, 그래도 뭔가 여당이 어떤 상황과 결정을 주도하도록 한다'는 정신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여야 추천 인사 2:2로 구성되는 4인 체제로 운영될 경우) 아무것도 못하는 식물 상태인 것은 똑같고, 잘못하면 시끄럽기만 하다"고 했다. 방통위는 본래 국회 추천 3인(여당 1인, 야당 2인) 및 대통령 임명 위원 1인, 위원장 1인 등 5인 체제로 운영된다. 구조상 이 전 위원장의 말처럼 3(여):2(야) 구조가 유지된다. 다만 중앙행정기관인 방통위에 야당 측 추천 위원이 포함되는 이유 자체가 방통위는 합의제 기관이라는 취지이기 때문에, '여당이 결정을 주도해야 한다'는 이 위원장의 제도 해석에는 논란이 따를 수 있다. 현재 방통위는 윤 대통령이 지난 4월 야당 추천 인사인 최민희 전 방통위 상임위원 내정자의 임명을 거부하면서 국회 추천 위원 공백상태에 빠졌고, 이 전 위원장과 대통령 임명직 위원 1인 등 2인 체제로 운영돼왔다. 한편 이날 이 전 위원장은 기자석에서 방통위 의결구조와 관련된 질문이 이어지자 답변을 피하며 "혼자 질문권 가진 것도 아닌데 계속 그렇게 질문하면 되나", "어디 기자냐"라고 언성을 높이며 답변을 거부했다. 그는 이후 다른 기자가 질문을 하려 할 때에도 "질문하실 땐 소속을 밝혀야지, 예의 아닌가" 따져묻기도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