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연령 가구소득 증가했지만…20대만 감소
해당 자료를 보면, 2018년 4567만 원이던 전체 가구소득은 2021년 5022만 원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20대 이하의 경우 같은 기간 3363만 원에서 3114만 원으로 오히려 감소(-7.4%)했다. 이 기간 자산이 감소한 연령층은 20대 이하가 유일했다. 30, 40, 50대 모두 10% 이상의 자산 증가가 관측됐고 60대 이상의 경우 20% 넘게(22.5%) 자산이 증가했다. 2018년 대비 지난해 부채보유액 증감 현황을 연령별로 살펴본 결과, 전 연령층에서 부채가 증가했다. 특히 증가세가 두드러진 연령층은 2030 청년층이었다. 20대 이하의 부채보유액은 2018년 2591만 원에서 지난해는 5014만 원으로 증가했다. 증가율이 93.5%에 달했다. 30대 부채는 같은 기간 8088만 원에서 1억1307만 원으로 39.8% 증가했다. 다른 연령층에서도 부채가 증가했으나 청년층만큼 크게 증가하지는 않았다. 40대의 부채는 1억109만 원에서 1억2328만 원으로 22.0% 증가했고 50대는 8820만 원에서 1억763만 원으로 22.0% 증가했다. 부채 증가세가 가장 약했던 연령층은 60대 이상이었다. 5380만 원에서 6045만 원으로 증가해 증가율이 12.4%에 머물렀다.청년층 결혼관, 시간 지날수록 더 부정적
통계청은 2030대의 결혼과 가족에 관한 인식도 조사했다. 그 결과 20대와 30대, 남성과 여성 모든 분류에서 결혼에 관한 태도가 과거보다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남성의 결혼에 관한 긍정적 태도는 2008년 71.9%에 달했으나 지난해는 41.9%로 급감했다. 30대 남성의 태도는 같은 기간 69.7%에서 48.7%로 떨어졌다. 이 기간 20대 남성의 긍정적 태도는 30.0%포인트 하락했고 30대 남성에서는 21.0%포인트 떨어졌다. 20대 여성의 결혼에 관한 태도는 08년 52.9%에서 지난해 27.5%로 떨어졌다. 하락률은 25.4%포인트였다. 30대 여성의 태도는 51.5%에서 31.8%로 19.7%포인트 하락했다. 이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남녀 모두 20대(남 30.0%p, 여 25.4%p)가 30대(남 21.0%p, 여 19.7%p)보다 감소폭이 컸다. 아울러 20대와 30대 모두 남성보다 여성의 긍정적 태도가 더 낮았다. 지난해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만 떼어 내 이를 연령별로 나눠본 결과 결혼에 관한 긍정적 태도는 나이가 들수록 높았다. 20대(남 41.9%, 여 27.5%)와 30대(남 48.7%, 여 31.8%)에 비해 60대 이상의 태도는 남 74.9%, 여 68.7%로 월등히 높았다.약자에 대한 태도, 과거와 지금 두드러진 차이는 없어
한편 통계청은 우리 사회의 사회적 약자를 바라보는 시선도 조사했다. 과거와 최근 모두 싸늘한 시선에는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성소수자를 '수용하지 못한다'는 응답 비율은 2013년 62.1%에서 지난해 55.9%로 떨어졌다. 직장동료로 수용할 수 있다는 응답 비율은 같은 기간 7.9%에서 14.0%로 올라갔다. 반면 친한친구로 수용 가능하다는 응답 비율은 2013년 6.8%였으나 지난해는 4.4%로 오히려 떨어졌다. 외국인 이민자와 노동자를 수용하지 못한다는 응답 비율은 2013년(9.8%)과 지난해(10.0%)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이웃으로 수용 가능하다는 응답 비율은 같은 기간 44.0%에서 29.8%로 오히려 떨어졌다. 다만 직장동료로 수용 가능하다는 응답 비율은 29.4%에서 42.3%로 올라갔다. 북한이탈주민을 수용하지 못한다는 응답 비율은 19.9%에서 22.2%로 소폭 올라갔다. 이웃으로 수용 가능하다는 응답 비율은 45.4%에서 31.1%로 떨어졌다. 반면 직장동료로 수용 가능하다는 응답 비율은 20.0%에서 34.2%로 증가했다. 통계청은 이 밖에도 연령대별 디지털 정보 접근 수준,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병원과 의료인력 차이, 연령별 산업재해 사망자 비율, 교통사고 사망자 비율, 여가 활동 등에 관한 조사 결과도 이번 자료에 포함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