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평양에 정치구호가 사라진다면?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평양에 정치구호가 사라진다면? [김동수의 북한 방문기] <2> 변해버린 평양, 서울과 묘하게 닮았다
김동수 교수의 북한 방문기를 연재합니다. 김 교수는 평안남도 덕천 출신으로 미국 버지니아주 노폭주립대학교에서 27년 간 교수로 재직하며 평화와 통일 운동에 몸담았던 국제평화운동가입니다.

남북 간 교류가 사실상 막혀있는 가운데 김 교수는 지난 4월 21일부터 28일까지 북한 어린이들을 지원하는 '코인 선교재단'(COIN Mission Foundation)의 폴 유 목사 부부와 함께 북한의 곳곳을 방문했습니다.

재미교포로 북한을 여러 번 드나들었던 김 교수는 북한은 스스로가 말하는 것처럼 "인민의 낙원"은 아니지만, 남쪽의 일부 사람들이 믿는 것과 같은 "생지옥"도 아니라고 강조합니다.

2015년 현재 북한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들여다본 총 7편의 김 교수 방북기를 통해 북한의 실제 모습을 이해하고, 나아가 남북이 화해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김동수의 북한 방문기>


평양은 아름다운 도시다. 유명한 건축물도 많지만 자연 풍경이 일품이다. 평양에 도착한 다음 날 아침, 대동강변을 산책하며 이번 방문의 과정과 의미를 생각해봤다. 몇 번의 심사를 받고 적지 않은 돈을 들여야 하는 북한 방문, 폴 유 목사는 왜 이런 불편한 여정을 계속하는 것일까?

유 목사는 과거 10년간 대북 지원활동을 하면서 여러 가지 오해와 불편하고 어려운 사정들이 있었지만 '박해하는 사람들을 축복하고, 기뻐하는 사람들과 함께 기뻐하고, 우는 사람들과 함께 울라'는 하나님의 사랑의 정신으로 모든 것을 참고 이겨왔다고 한다.

특히 어린 아이들이 영양실조로 고통을 당하는 것을 볼 때 참을 수 없는 연민을 느껴 그들을 돕는 일을 계속하게 됐다고 한다. 그러는 과정에서 하나님은 여러 좋은 사람들을 본인에게 붙여주시어 놀라운 결과를 만들어주셨다고 한다. 그렇다. 지원사역은 순수하고 희생적인 사랑에서 출발하는 것이고, 하나님의 선하신 뜻을 이루는 길이다.

▲ 평양 만수대지구 창천거리에 고층빌딩이 즐비하다. ⓒ김동수

김일성 종합대학에 들어가려면

점심은 옥류관에서 평양냉면을 먹었다. 유명세를 타서인지 전과 달리 많은 사람들이 밖에서 웅성거리며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우리는 식권이 아니라 현금지불이어서인지, 아니면 외국 손님이어서인지 별관으로 금세 들어갔다. 역시 본고장의 음식이라 맛이 훌륭했다.

오후에는 김일성종합대학 전자공학과를 방문했다. 이 대학은 1946년 10월에 설립한 북한 최초 종합대학으로 현재 15학부, 60여 개 학과에 1만 6000여 명의 학생과 1200명이 넘는 교원을 확보하고 있다. 북한의 많은 인재들을 배출한 곳이다. 교수 한 분과 여직원 한 분이 나와서 우리를 반갑게 맞아주고 안내해 준다.

학교는 현재 정문을 포함해 여러 시설을 개축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학구 활동은 볼 수 없다. 전자도서관이나 컴퓨터 강의실의 규모는 컸으나 시설이나 기재가 구식이었다. 누구도 돈이 없어 공부하지 못하는 경우가 없다는 것이 북한의 자랑이라고 하지만, 이 대학의 경우 엄격한 사상검증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오는 길에 우리는 '평양아동궁전'에 들렸다. 이 아동궁정은 1960년대에 장대재 언덕에 화려하게 건설되고 후에 개축된 청소년 종합교육센터이다. 방과 후 오후에 많은 지역 학생들이 와서 갖가지 예능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각종 전통 또는 서양 악기, 서예, 수예, 미술, 춤, 발레, 태권도 등 재능을 익힌다. 남쪽의 경우로 치자면 수 백 개의 학원이 한데 모여 과외 예능학습을 하는 곳이다. 단 학원비가 없고 경쟁이 없는 것이 다르다.

▲ 전통악기를 다루고 있는 아동궁전의 어린이들 ⓒ김동수

북한 사회의 공공 교육열은 대단하다. 1948년 공화국 정부가 설립되면서 최고인민위원회에서 논의한 첫 정치 의제가 '어떻게 학생들에게 연필을 제대로 공급할 것인가' 였다고 한다. 1982년에 남산재 위에 처음 개관한 인민대학습당은 4만 제곱킬로미터에 '조선식 합각지붕'으로 된 12층 건물이다. 위치나 규모로 보아 이 건물은 처음에 정부중앙청사로 사용하려고 했지만, 김일성 주석이 "정부청사를 짓지 말고, 도서관을 세우자"라고 건의하면서 도서관으로 세워지게 됐다고 한다. 지금은 약 3000만 권의 장서와 각종 시청각 시설을 갖추고 있다.

평양에 즐비한 볼거리, 그 목적은

사실 평양은 볼거리가 많은 도시다. 역사적으로 고구려의 수도였고 여러 역사적 유적이 남아 있다. 고구려 고분군(2004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지정), 새로 개축된 단군릉 (檀君陵), 동명왕릉 (東明王陵), 을밀대 (乙密臺), 평양성 등은 잘 알려진 명소다. 지금은 이른바 '혁명의 수도'가 된 평양은 여러 정치적 기능과 이념적 상징인 기념탑, 박물관, 광장, 건물, 동상, 거리 등이 전 시가에 즐비하다.

몇 개 유명 시설을 들자면 김일성 광장, 주체사상탑, 인민대학습당, 4.25 문화회관, 모란봉극장, 3대혁명전시관, 평양 개선문, 만수대의사당, 금수산태양궁전, 인민문화궁전, 천리마 동상, 조국해방전쟁승리 기념탑과 기념관, 만수대 예술극장, 조선예술영화촬영소, 조국통일 3대 헌장 기념탑 등이 있다. 모두 규모가 크고 예술적인 디자인이다. 그리고 릉라도 5월 1일경기장, 김일성경기장, 평양체육관, 유경정주영체육관 등 현대 체육시설도 곳곳에 마련돼있다.

그런데 북한에서는 이 모든 시설과 서비스가 사상교육을 위한 도구로 활용된다고 볼 수 있다. 상업적 목적이나 인민의 휴식이나 유흥보다는 혁명의 승리와 사회주의 체제의 우수성 등을 교육하고 선전하는 필수적 정치교육장이다.

북한을 방문하는 외부 또는 외국 단체원들은 으레 이런 장소들을 방문한다. 첫날 만경대 '고향의 집' (김일성 주석 생가)을 시작으로 주체사상탑, 인민대학습당, 만수대의사당 (국회), 금수산태양궁전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시신이 안치된 곳) 등지를 돌며 북한의 혁명사를 살펴보는 코스다. 혁명사의 중심은 자주독립을 쟁취하려던 '빨치산' 항일 무장투쟁이다.

오늘의 평양 시민과 서울 풍경

실무 지원사업을 수행할 우리 일행은 필수적 방문을 하지 않고 시내를 자유로이 구경할 수 있어 다른 방문자들보다 비교적 편하게 다녔다. 평양 곳곳에 있는 조각상, 분수대, 벽화, 그리고 지나는 행인들을 지켜보면서 2015년의 평양의 모습을 눈에 담았다. 특별히 눈에 들어온 것은 대부분 사람들이 전보다 좀 여유 있어 보였다는 점이다.

특히 여인들의 높은 구두와 세련된 패션은 과거 '고난의 행군'(1990년대 중·후반 국제적 고립과 자연재해 등으로 극도의 경제적 타격과 기근을 겪은 시기) 시절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였다. 여기저기 택시가 달리고 많은 젊은이들이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새로웠다. 웃음소리와 말소리도 이제는 생소하지 않을 만큼 편하다. 특히 만수대 거리 학당골 분수공원에는 여러 사람들이 한가로이 산책, 휴식, 데이트 하는 모습이 많이 보였다.

평양의 새로워진 모습에 서울 거리 풍경이 머릿속을 스쳐 갔다. 만일 서울 거리에서 수많은 간판과 광고가 다 없어진다면, 평양의 높고 큰 정치구호가 모두 사라진다면, 양쪽의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을까?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원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