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개혁.' 박근혜 정부가 집권 후반기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는 내용이다. 8월 6일 대통령 담화문에도 맨 첫머리에 등장한다. 청년 고용 절벽을 해소하자! 좋다, 이 주장을 반대할 이가 과연 어디 있을까. 그런데 왜 그 방식이 취업 규칙·일반 해고 가이드라인 도입이어야 하는가? 게다가 그 근거로 사용되는 각종 수치와 논리도 매우 의심스럽다.
악마는 디테일에 숨어 있다고 했던가. '오민규의 인사이드 경제'는 디테일 속에 숨은 악마를 추적해 보기로 했다.
디테일에 숨어 있는 악마를 찾아라!
①
지난달 26일, 국회 경제정책포럼(대표 정희수 의원) 주최 '한국 사회 어디로 가는가? 4대 양극화와 정책 대안’ 토론회가 열렸다. 노동 개혁이 최대 현안으로 떠오르면서 이 날 토론회에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직접 축사에 나섰고, 양 노총의 사무총장들도 토론자로 초청되었다.
그 자리에서 발제자로 나선 김동원 고려대학교 경영대 학장은 '노동 양극화 : 일자리 격차와 노동개혁'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기업 규모별 △고용 형태별 △성별 △학력별 △세대별 격차를 노동 시장 5대 양극화 현상으로 지목했다.
이 중에서 마지막 부분인 '세대별 격차'와 관련해 김동원 교수는 고용노동부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그래프 하나를 제공하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요즘 '노동개혁' 이슈 중 가장 뜨거운 주제가 세대 간 문제 아니던가.
<그림 19> 연령별 월급여총액
자료 : 고용노동부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각년도)
자, '인사이드 경제' 독자들은 위 그래프를 보면 가장 먼저 어떤 부분이 눈에 들어오시는지? 아마도 누구의 눈에나 분명히 보이는 것은 40대 임금을 정점으로 30대와 50대, 20대와 60대 임금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헉~! 이게 바로 그 유명한 임금 피크제 곡선이 아닌가? 게다가 2001년 곡선과 비교했을 때 2009년과 2014년의 곡선은 임금 피크제와 훨씬 가깝게 근접하고 있다. 쉽게 말해 우리 사회는 몇 년 전부터 중년 임금을 정점으로 50~60대의 임금이 대폭 줄어들고 있다는 얘기이다.
세대별 임금 상승률?
그렇다면, 이 날 발제자로 나선 김동원 교수는 이 곡선에서 주로 어떤 얘기를 했을까? 필자가 직접 토론회에 참석한 것은 아니었으니, 발제문에 적혀 있는 내용을 여기에 그대로 옮겨와 보도록 하겠다.
세대간 양극화
◦. 연령별로 월급여 총액을 살펴보면 세대 간 임금 격차를 쉽게 확인해볼 수 있음. <그림 19>에 나타나 있듯, 2000년대 들어 격차가 확대되는 양상을 볼 수 있음.
- 2001년 이후 중년층의 임금 상승에 비해 청년층과 노년층의 임금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더딘 편임. 55~59세가 2009년을 기준으로 2001년 대비 약 70.61% 상승하여 가장 높은 임금 상승률을 보였으며 40대와 50대 모두 60% 이상의 높은 임금 상승률을 나타냄.
- 반면, 19세 미만의 월급여 총액은 약 39.65%, 60세 이상은 약 50.6% 증가하는 데 그침. 청년층 및 고령층의 근로 조건이 점차 악화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음.
세대 간 임금 격차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은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지점이다. 그런데 김동원 교수가 주목한 부분은 세대별 '임금 상승률'이다. 뭐, 보는 각도에 따라서 어떤 것을 분석 도구로 삼느냐 하는 것은 학자의 자유의지이니 그렇다 치자.
그런데 이 대목은 좀 수상하다. 그래프에 등장하는 곡선은 총 3개(2001년, 2009년, 2014년)를 제시해 놓고, 왜 분석에서는 2014년 데이터만 쏙 빼고 2001년 대비 2009년 상승률만 계산했을까? '인사이드 경제'는 이런 게 눈에 띄면 참지 못하는 성격이다. 악마는 디테일에 숨어 있기 마련이니까 말이다.시기를 바꾸면 완전히 달라지는 분석
<2001년~2009년, 2009년~2014년 세대별 임금상승률>
임금 피크제 정당화용?
'인사이드 경제'에게 남의 마음을 읽어낼 능력은 없다. 다만 분석 내용을 볼 때 40~50대 임금 상승률이 높은 반면 19세 이하와 60세 이상의 상승률이 낮은 '세대별 양극화' 현상에 맞는 기간만을 뽑아냈다는 의혹을 지울 수가 없다. 2009~2014년 시기의 경우 전혀 다른 양극화, 즉 젊은 층 임금상승률은 높고 장년, 노년층 상승률은 낮은 현상이 포착되기 때문이다.게다가 최근 박근혜표 노동 개혁 이슈 중 가장 뜨거운 논란이 되고 있는 임금 피크제가 실시될 경우 임금이 삭감될 처지에 있는 연령층이 바로 55~59세이다. 그렇기에 이 세대의 임금 상승률이 가장 높은 구간이 필요했던 게 아닐까? 시기를 좀 더 최근으로, 그러니까 2009~2014년으로 옮겨서 보면 그 세대의 임금 상승률이 가장 낮게 나타나는데 말이다.여하튼 위 그래프를 보면 2001~2009년의 경우 50~60대 상승률이 높게 나타나면서 세대별 상승률에 큰 편차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2009~2014년의 경우 젊은층 상승률이 제일 높고 장년, 중년, 노년층으로 갈수록 상승률이 떨어지는데, 그 추세가 매우 완만하게 그려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김동원 교수의 분석은 좀 뒤로 제쳐놓더라도, 이 2개의 시기는 대체 무슨 차이가 있는 것일까? 무슨 차이가 이토록 세대별 임금상승률의 추세를 완전히 다르게 나타나는 것일까? 진짜 분석해야 할 양극화 현상은 바로 이 부분이 아닐까. 다음 편에서 이 문제에 대한 '인사이드 경제'의 해석을 담을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