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미 금리 역전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추 부총리는 28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가진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 모두발언으로 "미 연준(Fed)의 결정은 대체로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이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 국내 금융 정책 기관 수장이 총출동했다. 27일(현지시간) 미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다시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2.25~2.50%로 결정됐다. 기준금리 상단이 현재 한국 기준금리(2.25%)보다 높아 한미 금리 역전이 일어났다. 이는 2020년 2월 이후 2년 반 만에 처음이다. 여태 한미 기준금리 역전은 총 세 차례 있었다. 추 부총리는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한 한미 정책금리 역전으로 인해 일각에서는 외국인 자금유출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고 운을 뗐으나 "우리 경제 펀더멘털과 글로벌 이벤트 대응 수준이 자본유출입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과거 세 차례 한미 정책금리 역전 때도 미국 금리인상 기간 전체로 보면 국내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오히려 순유입을 유지했다"고 덧붙였다. 추 부총리는 현재 한국 경제가 "역대 최고 수준의 국가신용등급을 유지"하고 있고 "충분한 수준의 외환보유액과 다층적 유동성 공급망 체계"를 갖춰 "위기 상황 대응을 위한 안전판을 충분히 갖췄다"고 강조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6월 현재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383억 달러로 세계 9위 수준이다. 추 부총리는 아울러 "7월 들어 외국인 증권자금이 주식·채권 모두 순유입세를 기록해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이 튼튼함을 방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미 금리 역전 이벤트 예상 수준이 이미 증시에 반영됐음에도 외국인 자금 순유출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평가로 해석된다. 추 부총리는 다만 "글로벌 리스크 요인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 역량을 확충"하고 "금융시장 전반에 대한 혁신 노력에도 총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구체적으로 회사채와 단기어음(CP) 시장 안정조치를 예정대로 시행하고 긴급 국채 조기상환, 한국은행의 국고채 단순매입 등을 적절한 시점에 추진하겠다고 추 부총리는 밝혔다. 아울러 금융시장에 과도한 쏠림현상이 발생할 경우 "과거 금융위기 때 활용한 금융부문 시장안정조치를 즉시 가동"하겠다고 추 부총리는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