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아이슬란드 여성파업을 두고 한국 언론은 환호했습니다. 차별과 폭력, 저임금과 착취에서 벗어나려 한 아이슬란드 여성들의 파업은 성별임금격차를 비롯한 성차별을 개선하는 힘이었습니다. 한국은 어떻습니까.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는 말을 정책으로 구체화하고 있는 윤석열 정부는 여성노동자들의 자리마저 삭제하려 합니다. 여성노동자들이 싸워 쟁취한 성과마저 지우려합니다. 이에 한국에서도 2024년 3월 8일 여성의 날을 여성파업으로 돌파하고자 합니다. 29개의 단체와 노조가 모여 2024여성파업조직위원회를 구성했습니다. 연재 기고 '역행하는 시대, 우리가 멈춘다'는 2024여성파업의 의미와 현재에 대해 말합니다.
윤석열 정부의 성평등 정책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
윤석열 정부는 집권 초기부터 지금까지 줄곧 여성노동자가 겪는 차별을 해소할 의지가 없다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대선에서부터 정권 획득을 위해 ‘젠더갈등’을 활용했던 정부는,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 차별은 개인적 문제’라고 선언하며 성평등 관점의 부재를 드러냈다. 차별을 해소하고 평등을 지향하는 당연한 국가의 책무가 정부 차원에서 도외시되고, 시민들의 기본권과 인권을 침해하는 데 국가가 앞장서는 웃지 못 할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는 선언은 현존하는 문제를 없는 것으로 만들고, 성차별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윤 정부의 기조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문구가 되었다.대한민국 여성노동자의 현실
정규직 여성노동자의 월 평균 임금은 2016년부터 최저임금을 밑돈다. 2023년 주 40시간 기준 월 최저임금은 201만 원이지만,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월 평균 임금은 163만 원에 불과하다. 시간제 노동자들의 노동환경은 곧바로 여성노동자들의 삶에 직결된다. 그러나 정부는 시간제 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 현실을 나아지게 하려는 노력은커녕, 오히려 주 15시간 미만 근무하는 시간제 노동자의 실업급여를 낮추는 방안을 추진하며 여성노동자들의 현실을 더욱 열악하게 만드는데 일조하고 있다.장시간 노동, 여성노동자에 대한 심각한 위협
정부는 끊임없이 초장시간 노동 체제 도입을 꿈꾸고 있다. 올 초 주 69시간 노동을 외치던 정부는 극심한 반대에 부딪힌 후 한발 물러서는 듯 보였다. 그러나 최근 정부는 다시금 제조업·생산직 등 일부 직군에 한정해 최대 근무 시간 주 60시간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장시간 노동과 긴 출퇴근 시간 아래 돌봄노동은 이미 늘 여성의 몫이 된 지 오래다. 여기에 OECD 최고의 성별임금 격차는 상대적으로 저임금인 여성이 돌봄노동을 전담하는 것을 합리화함으로써 성차별을 고착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다. 기준 노동시간이 길어지면 여성들은 더 짧은 노동시간을 찾아 시간제 일자리로 이동할 수밖에 없다. 이는 낮은 임금과 불안정한 일자리를 의미한다. 장시간 노동 체제는 채용과정에 있는 여성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사용자는 모든 여성이 미래의 돌봄전담자가 될 것이라는 가정 아래, 초장시간 노동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판단한다. 결국 초장시간 노동의 보편화는 여성의 일자리 질 저하를 가져오며, 돌봄노동의 과중으로 여성의 삶을 나락으로 몰아넣고, 여성의 미래를 앗아간다. 이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대안은 노동시간 단축이지만, 정부는 끊임없이 장시간 노동을 획책하고 있다.돌봄 노동 가치 저평가
정부는 돌봄의 공백을 글로벌 착취를 통해 해결하려고 시도 중이기도 하다. 정부는 올해 안으로 외국인 가사노동자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에서는 외국인 가사노동자를 도입하는 시범사업이 예정되어 있다. 추진 이유로는 한국의 심각한 저출생 상황을 들고 있다. 그리고 정부는 내년부터 1만 3천명 이주노동자를 5명 미만 규모의 식당에서 고용하는 고용허가제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현재 5인 미만 식당에서 일하는 이들은 대부분이 여성 노동자들이며, 저임금과 불안정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정부는 이렇게 질 낮고 열악한 가사·돌봄 노동 일자리의 질을 높이기보다는,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을 이 자리에 고용함으로써 저임금을 고착화하며, 더욱 열악한 일자리를 양산하게 될 정책을 펼치고 있다. 글로벌 착취에 기반하여 돌봄 공백과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정책은 돌봄에 대한 저평가를 기반으로 한다. 돌봄은 생존과 불가결한 필수노동이며, 모든 시민에게 필요한 영역이다. 초장시간 노동으로 공백이 된 돌봄 노동을 글로벌 착취를 통해 해결하고, 돌봄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을 하락시키는 방식은 기업주의 이윤에 복무하는 것 외에 아무런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글로벌 착취 시스템과 돌봄 노동의 전가 아래에서 노동시장 성평등은 더욱 멀어질 것이고, 노동자는 정반대의 처지에서 갈라지고, 차별당하며, 빈곤의 가중을 겪을 것이다. 지금보다도 자본과 노동의 이중격차가 극심해진다면, 0.78이라는 충격적 합계 출생률은 더 낮아질 게 뻔하다.정치가 조장하는 백래쉬, '젠더 갈등'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