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3차 대전은 이미 시작됐다. 세계는 전쟁 중이다"
[전쟁국가 미국] 인류의 종말을 재촉하는 우크라이나전쟁 (1)
개전 6개월째를 맞는 우크라이나전쟁이 언제, 어떻게 끝날지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확실한 것은 이번 전쟁은 우크라이나를 앞세운 미국의 대리 전쟁이며, 세계 핵무기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두 군사대국 미국과 러시아가 각각 세계 패권 유지, 또는 자국의 생존 및 안보를 걸고 벌이는 군사대결이라는 점에서 이른 시일 안에 승부가 결정되지는 않을 것이라
"아랍 석유 빼앗기"...미국은 새로운 전쟁, 새로운 적이 필요했다
[전쟁국가 미국] 1차 이라크전쟁 (하) 석유를 위한 전쟁 : 미국의 대응
걸프지역 군사 점령이라는 '미국인의 꿈' 1973년 10월 1차 석유파동 이후 미국인의 정치적 무의식 속에는 '군사력에 의한 걸프지역 유전 점령'이라는 꿈이 잠재해 있었다. 일례로 1975년 1월, 정치학자 로버트 터커(존스홉킨스대 교수)는 네오콘 잡지 <코멘타리>에 실린 글 "석유와 미국의 개입"을 통해 아랍세계에 대한 미국의 무력 개입을 촉
'검은 황금' 위한 미국의 중동 전쟁, 그리고 사담 후세인의 두 얼굴
[전쟁국가 미국] 1차 이라크전쟁(1990.8-1991.2) (중)
흔히 1차 이라크전쟁은 지역 평화를 위한 전쟁, 2차 이라크전쟁(2003년)은 석유 통제권을 둘러싼 전쟁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1차 이라크 전쟁부터가 석유전쟁이었다. 왜 그런가. 1979년부터 2003년까지 이라크를 통치했던 사담 후세인(1937-2006년)은 오늘날 이웃나라인 쿠웨이트를 무력으로 불법 점령한 침략자, 제 나라 국민을 독가스로 살
"미국은 15년간 이 전쟁을 준비해 왔다"...美 군사주의 부활하다
[전쟁국가 미국] 1차 이라크전쟁(1990.8-1991.2) (상)
1차 이라크전쟁(걸프전쟁)은 탈냉전 후 미국이 치른 첫 번째 전쟁이다. 이 전쟁에서의 압도적 승리로 미국의 군사주의는 화려하게 부활한다. 베트남전쟁 패배 이후 사용을 자제했던 군사력이 대외정책의 핵심수단으로 재부상한 것이다. 또한 역사상 처음으로 미군이 중동지역(사우디아라비아)에 상시 주둔하게 된다. 그러나 아프간전쟁에서 군사적 실력을 닦은 이슬람 무장세력
미국의 이중플레이 이란·이라크 전쟁, 사담 후세인을 키워내다
[전쟁국가 미국] 이란·이라크전쟁(1980-88)
1차 아프간전쟁(1979-89)이 계속되는 동안, 서쪽 이웃에서는 이란과 이라크가 8년간 전쟁을 벌였다. 1980년 9월 22일 이라크의 선공으로 시작된 이란·이라크전쟁은 1988년 7월 18일 이란의 호메이니가 강화협상을 요청하면서 이라크의 승리로 끝났다. 전쟁 승리로 아랍의 군사적 맹주로 떠오른 이라크의 후세인은 2년 후인 1990년 8월 2일 쿠웨이트
"당신들은 당신들의 암살범에 돈을 대주고 있소"
[전쟁국가 미국] 1차 아프간전쟁(1979-89) (하) 이슬람 신정의 병기고...폭력의 세계화와 사유화
1982년 초, 레이건 대통령은 매년 3월 10일을 '아프간의 날'로 지정했다. "세계 안보와 안정의 기초로서 자신들의 독립과 자유를 수호하려는 아프간 '자유의 전사'들을 지지"한다는 의미였다. 또한 그 해 예정된 우주왕복선 콜럼비아호의 우주비행을 아프간 국민에게 헌정했다. 소련에 대한 아프간인들의 저항이 "자유에 대한 인류의 가장 고매한 이상"을 대변한다
위험천만 미국의 아프간 대리전쟁...'악마의 게임'은 이렇게 시작됐다
[전쟁국가 미국] 1차 아프간전쟁(1979-89) (중)
소련의 아프간 점령 다음 날인 1979년 12월 26일, 브레진스키는 카터 대통령에게 올린 비밀 보고를 통해 미국의 대응책을 건의했다. "아프간의 저항이 지속되는 것이 무엇보다 긴요"하며 이를 위해 "아프간 반군에게 보다 많은 무기와 군자금이 지원돼야"하고, 이러한 반군 지원의 임무를 이웃 나라인 파키스탄에 맡겨야 한다는 것이었다. 나아가 "이슬람 우방국들
"이제 미국은 소련에게 '베트남 전쟁'을 선사할 수 있게 됐습니다"
[전쟁국가 미국] 1차 아프간전쟁(1979-89) : 미국 대중동전쟁의 시작 (상)
2001년 9.11테러는 아무런 연유 없이, 어느 날 갑자기 느닷없이 자행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9.11테러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 기원과 배경과 진행 과정을 알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9.11테러의 출발점인 1979년 12월 25일 소련군의 아프간 파병, 그리고 이에 대한 미국의 강경 대응에도 나름대로의 연유와 속셈이 있었다. 간단히 말해 소련이 아프간
아프간, 美CIA 역사상 최대 비밀공작으로 시작해 '역풍'으로 끝나다
[전쟁국가 미국] 대중동전쟁 1979-2021
2019년 11월 이후 중단됐던 <전쟁국가 미국> 연재를 재개합니다. 우선 9.11테러 20주년을 맞아 1979년 이후 42년간 지속됐던 미국의 대중동전쟁에 대해 알아봅니다. (필자) 2차 아프간전쟁 종료가 의미하는 것 지난 8월 30일 아프간 주둔 미군이 철수를 완료함으로써 2001년 9.11테러 이후 시작된 2차 아프간전쟁이 공식 종료됐다
미국이 이란·이라크와 전쟁을 벌인 진짜 이유
[전쟁국가 미국·4강-⑤] 국제석유체제와 이란, 이라크
아람코 출범과 영미석유협정의 무산에서 분명해진 것은 국제 석유시장의 운영과 통제는 전적으로 석유카르텔의 몫이라는 점이다. 즉 미국이나 영국 정부의 직접 통제는 허용될 수 없으며, 정부 역할은 석유카르텔의 시장 지배를 위한 정치군사적 지원에 한정된다는 것이다. 특히 2차 대전 이후 미국 석유메이저와 정부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석유메이저는 첫